영어, 9월 모평보다 쉬웠고 고난도 문항 다수 출제 ‘눈길’ 수학 등 상위권 변별력 강화 “가채점 결과 따라 수시 논술 면접 등 참가 여부 결정해야”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각 영역 선택과목별 체감 난이도 차이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송원학원에 따르면, 국어 영역은 2025학년도 수능보다 다소 어렵게 출제됐으며, 2026학년도 9월 모의평가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독서·문학·언어 영역은 9월 모의평가와 유사한 난이도를 유지한 반면, 화법과 작문은 비교적 쉽게 출제돼 선택과목별 체감 난이도 차이가 있었다.
독서 영역(공통 과목)에서는 사회·과학·인문 분야 지문이 EBS와 연계돼 출제됐으나, 법적 추론이 필요한 6번 문항과 철학자 간 견해 차이를 분석해야 하는 17번 문항이 고난도 문제로 꼽혔다. 과학 지문은 개념 관계 파악이 핵심이었고, 인문 지문은 배경지식에 따라 체감 난이도가 달랐다.
문학 영역(공통 과목)은 현대시와 고전수필이 갈래 복합으로 출제됐으며, 현대소설의 인물 관계 및 사건 맥락 파악이 까다로웠다. 고전시가는 연계·비연계 작품을 혼합 출제했고, 34번 문항에서 작품 맥락 파악이 어려웠다. 갈래 복합 24번과 현대소설 29번은 세부 정보를 묻는 문제로 시간 소요가 컸다.
화법과 작문(선택 과목)은 최근 출제 경향을 유지했으나, 담화 비교 분석(40번)과 도표 이해(36번) 문항에서 시간 부담이 있었다. 언어와 매체(선택 과목)는 문법 지식보다 지문 분석을 요구하는 36번이 까다로웠으며, 매체 영역에서는 온라인 알림 메시지가 새롭게 출제됐다.
수학 영역의 경우 2026학년도 9월 모의평가와 유사한 기조를 유지했으나 2025학년도 수능보다 전반적으로 어려웠다. 공통 과목에서는 15번(수학Ⅱ), 21번(수학Ⅱ), 22번(수학Ⅰ) 등 고난도 문항이 계산량과 발상 난이도에서 변별력을 확보했다.
선택 과목별로는 ‘확률과 통계’가 상대적으로 평이했으나, 6월·9월 모의평가보다 계산량이 많아 체감 난이도가 높았다. ‘미적분’은 30번(미분법)을 최고난도 문항으로 출제해 2025학년도 수능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고, ‘기하’는 30번(평면벡터)에서 변별력을 확보했다.
영어 영역은 2025학년도 수능(1등급 6.22%)과 비슷한 난이도로 출제됐으며, 9월 모의평가(1등급 4.5%)보다는 쉬웠다. 다만 1등급 비율은 4.5%로 집계돼 상위권 경쟁이 치열할 전망이다.
사회탐구 9과목, 과학탐구 8과목 중 2과목을 선택하는 탐구 영역은 대학별로 백분위 또는 변환표준점수를 반영하기 때문에 원점수보다 백분위 분석이 중요하다. 가채점 단계에서 예상 백분위를 꼼꼼히 비교해 유불리를 판단해야 한다.
차상로 송원학원 진로실장은 “이번 수능은 국어와 수학 모두 선택과목에 따라 체감 난이도 차이가 뚜렷했다”며 “특히 독서와 수학 공통 과목에서 고난도 문항이 다수 출제돼 상위권 변별력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수험생들은 수능 직후 가채점을 정확히 진행한 후 정시 지원 가능 대학을 확인해야 하며, 이번 주말부터 시작되는 수시 논술고사와 면접고사 참가 여부는 가채점 결과에 따라 결정해야 한다”면서 “가채점 결과가 우수하면 수시 참여를 포기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나, 미흡할 경우 남은 수시 일정에 집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대구 지역에서는 오후 5시 30분 기준 수능 시험 중 부정행위자 6명이 적발됐다.
대구시교육청에 따르면, 이번 부정행위는 4교시 탐구 영역 응시 방법 위반 2명, 반입금지 물품(전자기기) 소지 2명, 종료령 이후 답안 작성 또는 수정 1명, 휴대 가능 물품 외 물품 보관 1명 등으로 확인됐다.
시험 부정행위는 수능 시험 규정에 따라 해당 영역 또는 전 과목 무효 처리될 수 있으며, 교육당국은 적발된 사례에 대해 추가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대구시교육청 관계자는 “시험 감독 강화로 부정행위를 사전에 차단하고자 했으나, 일부 응시자가 규정을 위반한 점에 유감을 표한다”며 “공정한 시험 운영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