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수도권 잇는 관문이 닫혔다”…지역 경제·관광업계 우려 확산 “경인지역 울릉 접근성 치명적 타격, 노선 부활 절실”
강원 강릉~경북 울릉도 저동항을 잇는 여객선 뱃길이 15년 만에 강릉시의 행정조치로 사실상 끊겼다.
울릉도 주민들과 관광업계는 “수도권에서 울릉도로 향하는 가장 빠른 관문이 사라졌다”며 노선 부활을 촉구하고 있다.
강릉시는 “11일 청문회를 통해 어항시설 점용·사용 허가 불허 방침을 확정했고, 연장 불허 처분과 함께 선사 측에 시설 원상복구 명령을 내릴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로써 강릉항 여객터미널은 행정적으로 폐쇄 절차에 들어갔고, 강릉~울릉 항로는 운항 중단 단계에 접어들었다.
시 관계자는 “이번 청문은 행정절차상 마지막 단계로, 이미 연장 불허 방침을 확정한 상태”라며 “선사 측 의견을 반영한 뒤 11월 중순 이후 최종 통보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시는 지난 6월 24일 종료 예정이던 사용 허가를 울릉군과 군의회 요청에 따라 10월 말까지 한시적으로 연장했다. 그러나 연장 기간 동안 선사 측이 약속한 터미널 이전·신축 등의 조치를 이행하지 않아, 기존 방침을 유지하기로 했다는 입장이다.
시에 따르면 해당 선사는 2011년 노선 취항 당시 ‘터미널 이전·신축’을 조건으로 사용 허가를 받았으나, 이후 10년 넘게 개발이나 매립 공사를 진행하지 않았다. 2015년 해양수산부 감사에서도 “월파 위험이 있어 공공시설로 부적합하다”는 지적이 있었지만 개선은 없었다고 시는 밝혔다.
해당 여객선은 지난 10월 31일 마지막 항차를 끝으로 동절기 휴항에 들어간 상태다. 사실상 강릉~울릉 항로의 마지막 운항이 끝난 셈이다. 화물선 운항만 유지되고 있으며, 강원권의 울릉행 여객선은 현재 묵호항 노선만 남게 됐다.
울릉 주민들과 관광업계는 이번 중단이 ‘단순한 행정절차’가 아니라 ‘울릉 접근성의 심각한 후퇴’로 이어질 것이라 우려하고 있다. 울릉읍의 한 숙박업소 대표는 “강릉은 수도권 관광객이 가장 많이 찾는 관문이었다. 이 노선이 끊기면 관광객 수가 줄고 지역경제도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해수부와 지자체가 행정 논리보다 공공교통 접근성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해양물류 관계자는 “터미널 이전 문제가 있었다면 행정협의나 국비 지원으로 해결할 수도 있었다”며 “섬 지역의 교통권은 민간 책임만으로 해결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한편, 강릉시는 청문 절차 종료 후 터미널 사용 불허를 공식 통보하고 부지 원상복구 명령을 함께 진행할 계획이다. 해당 부지는 국가관리항만으로, 향후 강릉해양경찰서의 50톤급 경비정 계류장 등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하지만 울릉군민과 관광업계는 “행정조치로 16년간 이어온 항로가 끊긴다면 울릉 접근성은 더욱 취약해질 것”이라며 “정부 차원의 중재와 지원으로 강릉~울릉 항로의 재개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김두한기자 kimd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