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영주시, 공공체육시설 관리·이용 개선 필요성 절실

김세동 기자
등록일 2025-11-11 13:33 게재일 2025-11-12 11면
스크랩버튼
풀이 무성하게 자란 채 방치된 단산면 족구장.  /김세동기자

영주시가 운영하는 공공체육시설의 효율적 관리와 이용자 간 갈등 해소를 위한 개선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올해 4월 기준 영주시 관내에는 시민운동장, 국민생활체육관 등 24개 전문 체육시설과 21개소 게이트볼장, 19개 읍면동 461개소에 1507점의 동네 체육시설 야외운동 시설이 운영 중이다. 

시는 이들 시설의 유지보수를 위해 매년 1억 2000만 원을 투입하고 있다.

공공체육 시설을 두고 시설 규모와 이용률 간 불균형, 관리 소홀, 특정 단체의 독점 운영 등 문제가 지속해 제기되고 있다.  

주요 문제점에는 △특정 동우회의 장기 독점 및 불투명한 수익 창출 △운영 시간 비효율성 △프로그램 다양성 부족 △무분별한 이용으로 인한 시설 훼손 등이 꼽힌다. 특히 야외운동시설의 경우 이용객이 적음에도 자연 환경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 발생과 일부 시설은 장기간 방치되거나 동절기에 비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위 좌부터)이용자가 없는 시민운동장 앞 공공체육시설, 텅빈 한정교 다리 밑 게이트볼장. 사진 아래 좌부터)이용자가 없는 한정교 인근 공공 야외 체육시설, 실내형 게이트볼장이용자들의 차가 주차장에 가득찼다.  /김세동기자

최근 A 단체는 시설 인근에서 운동하던 시민을 대상으로 자신들이 경기중인 시설에 들어왔다며 마찰을 빚는 사례가 발생하는 등 갈등도 확산되고 있다. 

공공체육시설 중 야외형 시설은 동절기로 접어들면서 이용자 수가 크게 줄어들었다.

김모(47·회사원·휴천동) 씨는 “공공체육시설은 모든 시민이 공평하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며 ”특정 단체가 독점화하는 행위는 근절 돼야 한다"고말했다.

이모(65·가흥동)씨는 “이용자 스스로 시설을 책임지고 관리하는 문화가 필요하다. 사용법과 용도에 맞지 않는 이용으로 시설이 망가자는 경우가 많다"며"공공시설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사용자의 의식 변화도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명확한 이용 규정 수립, 특정 단체의 장기 독점 및 불법 강습 제재, 시민 생활 패턴 반영한 운영 시간 조정,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등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 시설 관리 주체를 지자체만이 아닌 이용자 공동 책임제로 전환하는 방안도 제시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공공체육시설이 시민 모두에게 열린 공간이 될 수 있도록 관리 체계를 개선해 나가겠다"며 "이용자 의견 수렴을 통해 더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세동기자 kimsdyj@kbmaeil.com

북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