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활주로 1500m는 생명선’···울릉도 주민, 울릉공항 활주로 연장 거듭 호소

김두한 기자
등록일 2025-11-11 13:17 게재일 2025-11-12 9면
스크랩버튼
울릉공항 활주로 연장 논란 ‘폭발’···국토부 “불가능” vs 주민 “안전 포기 못해”
울릉공항 활주로 공사 현장. 바다 메우기 공사가 막바지에 들어갔다. /울릉군 제공

울릉도 사동리 울릉(사동)항과 맞물려 건설되는 울릉공항 건설 현장이 막바지 공정에 접어들었지만 활주로 길이를 둘러싼 논란은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다.

주민들은 “현재 설계된 1200m로는 안전한 운항이 어렵다”며 300m 연장을 요구하고 있고, 국토교통부와 사업단은 “기술적·경제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맞서면서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최근 울릉공항 인근에서는 활주로 연장을 촉구하는 주민들의 ‘기습 시위’까지 벌어졌다. 울릉공항 건설현장에서 열린 국토부 기자단 대상 설명회에서는 일부 주민들이 “활주로 연장은 생명권의 문제”라며 발언권을 요구했고, 사무실 밖에는 “활주로 1500m로 연장하라”는 피켓을 든 주민 수십명이 구호를 외쳤다.

울릉군 내 기관단체 임직원들이 울릉공항 현장 사무실 앞에서 기습 시위를 하고 있다. /독자 제공

울릉도 곳곳에는 “활주로 연장하라”, “안전한 울릉공항 건설하라”는 문구의 현수막이 내걸렸고, 버스와 식당에서도 공항 이야기가 빠지지 않는다. 주민 강경파를 중심으로 ‘안전한 울릉공항 건설 민관협의회’가 구성됐으며, 대국민 서명운동도 전개 중이다.

주민들은 울릉공항에 취항 예정인 ATR72-600 기종의 ‘최적 이착륙 거리’가 1315m라는 점을 근거로 “울릉도의 험한 기상 조건을 고려하면 최소 1500m는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남한권 울릉군수도 “울릉공항은 군민의 생명줄과 같다”며 “여건이 허락된다면 바다 쪽으로라도 300m 연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실제 감사원도 지난 9월 발표한 ‘울릉공항 안전성 보고서’에서 “활주로가 젖을 경우 제동거리가 늘어나 착륙이 어려울 수 있다”며 “조종사 20명 중 19명(95%)이 활주로 연장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고 지적했다.

케이슨(수면 4m)위에 시멘트 타설을 통해 수면 23m를 높여 메워 할주로를 만들고 있다. /자료사진 

하지만 국토부와 울릉공항건설사업단은 “연장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선을 그었다. 국토부는 “ATR72-600의 적정 활주로 길이 1315m는 연료를 최대한 싣고 만재 상태에서의 기준일 뿐 실제 운항에서는 중량을 조정해 1200m에서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또 “연장 시 공기가 최소 3년, 사업비는 1조원 이상 추가되고, 이미 설치된 케이슨 30함을 철거·재시공해야 한다”며 현실적 한계를 밝혔다.

공항건설 관계자는 “활주로를 300m 늘리면 착륙대 폭이 150m에서 280m로 늘어나고, 수심 60m 해역에서의 재시공은 전 세계적으로도 사례가 없다”며 “환경영향평가와 재설계까지 다시 해야 해 2030년 이후 완공도 장담할 수 없다”고 했다.

안전한 울릉공항건설추진위 주관 울릉주민 활주로 연장 촉구 대회를 열고 있다. /안전한 울릉공항건설추진위원회 제공

울릉공항은 ‘7시간 뱃길을 1시간 하늘길'로 단축하는 국내 첫 도서 소형공항 프로젝트다. 총사업비 8792억원이 투입되며, 공정률은 10월 말 기준 68.7%다. DL이앤씨 등 8개 건설사가 참여했다. 내년 초부터는 여객터미널 공사에 착수한다.

울릉공항은 2020년 착공 당시 2025년 준공 예정이었지만, 50인승에서 80인승으로 설계가 변경되면서 개항 시점이 2028년 상반기로 연기됐다. 사업단은 “기상 여건이 변수지만 내년부터는 24시간 공사를 통해 목표 일정을 지킬 것”이라고 밝혔다.

전국민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독도에서 울릉공항 활주로 연장을 촉구하고 있다. /울릉공항 활주로연장추진위원회 제공

정부는 울릉공항 건설로 약 9800억원의 생산유발효과, 3600억원의 부가가치, 6900명 이상의 취업유발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여객 수요를 과다하게 산정했다는 감사원 지적까지 겹치면서 울릉공항은 개항 전부터 ‘기대와 우려’가 공존하는 사업이 되고 있다.

지역 주민들은 “공항은 단순한 교통수단이 아니라 생명선”이라며 “안전한 공항을 위해 정부가 주민 목소리를 끝까지 들어야 한다”고 호소했다. 반면 국토부는 “주민 불안감 해소를 위해 설명회를 지속적으로 열고 협의체를 통해 소통하겠다”며 상황 진화에 나섰다.

/김두한기자 kimdh@kbmaeil.com

동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