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달러 약세·유럽 재정불안·엔화 변수”··· 국내 금융시장 불안 확대

김진홍 기자
등록일 2025-11-10 13:41 게재일 2025-11-11 6면
스크랩버튼
현대경제연구원 ‘국내외 금융리스크 점검과 시사점’
부동산·가계부채 취약성 겹친 ‘복합 금융리스크’ 경보
Second alt text
현대경제연구원이 보고서에서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로 국내 금융시장의 불안요인이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클립아트 코리아 제공

글로벌 환율·금리 환경의 급변 속에 국내 금융시장의 불안 요인이 동시에 확대되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특히 달러 약세, 유럽의 재정 리스크, 일본 엔화 변동성이 대외 변수로 부상한 가운데, 국내에서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과 가계부채의 구조적 취약성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어 선제적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지난 7일 발표한 ‘국내외 금융리스크 점검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글로벌 금융시장은 주요국 통화정책과 지정학적 리스크가 맞물리며 변동성이 재차 확대되는 국면”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은 우선 달러 약세 전환을 핵심 변수로 제시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인하와 통상 정책 불확실성으로 달러 강세 기조가 약화하면서 위험자산 쏠림과 외환시장의 단기 변동이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보고서는 “2026년에도 완화 기조가 이어질 경우 글로벌 유동성 흐름에 추가적인 변곡을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유럽 재정불안도 금융 불안 재연 요인으로 꼽혔다. 
프랑스 등 주요국의 재정지출 확대와 신용등급 하향 조치가 잇따르면서 국채금리 상승, 소비·투자 둔화가 동반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연구원은 “재정 포퓰리즘이 장기화하면 유럽발(發) 금융 긴장도가 높아지고 글로벌 자금 이동 속도도 빨라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일본의 경우 엔화 가치 변동 방향성이 뚜렷하지 않은 ‘쌍방향 위험’이 부각됐다. 
물가 여건상 점진적 엔화 강세가 가능하지만, 일본 정부의 재정 부양 확대와 일본은행의 완화 기조가 결합할 경우 약세 압력이 다시 강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 경우 엔캐리 자금 청산과 수출경쟁력 조정 등 실물·금융 충격이 함께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국내 금융시장의 ‘내부 균열’로는 부동산 PF와 가계부채가 지목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부동산 PF 유의·부실 우려 익스포저는 올해 6월 말 기준 20조8000억 원으로, 특히 증권사와 상호금융 부문의 부담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부동산 경기 회복 속도가 예상보다 더딘 만큼 구조조정·정리 과정에도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 분석했다.

가계부채 역시 증가세가 유지되고 있다. 2분기 말 가계부채는 1953조 원, 주택담보대출은 1148조 원으로 전년 대비 5%대 증가했다. 금리 상승 국면에서 이자 부담이 커지는 가운데, 주담대 규제 강화로 부족한 자금을 신용대출로 보완하는 ‘이중 레버리지’ 위험도 관찰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연구원은 이에 대한 대응 방향으로 △PF 사업장별 현금흐름 기반 구조조정 강화 △취약차주 맞춤형 채무조정 △외환·유동성 스트레스 테스트 강화 △중기 재정준칙 재확인 등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대외 변수의 파고와 국내 취약 부문의 균열이 동시에 존재하는 복합 리스크 국면”이라며 “충격 전이를 막는 투트랙 관리가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