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이 22일 개막한 ‘FIX 2025’에서 피지컬 AI, 휴먼 디지털 트윈, 퀀텀 센싱 등 3대 미래전략분야를 선보인다.
이번 전시는 DGIST의 핵심 연구 성과와 창업기업 성과를 통해 기술사업화 가능성을 제시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DGIST는 지난 1년간 미래전략분야발굴위원회를 운영하며 국내외 기술 동향, 인프라, 지역 산업 연계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3대 분야를 선정했다.
전시에서는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의 자연 모사 로봇 및 모빌리티 기술 △미래모빌리티연구부의 THz 비파괴 검사 시스템 △센소리움연구소의 D-FAB 모형 및 센서 소자 웨이퍼 △차세대반도체융합연구소의 MPW 웨이퍼 등 핵심 연구성과가 공개된다.
또 팀로보틱스, 엔사이드, 유니바 등 DGIST 출신 창업기업은 착용형 로봇, 성대질환 진단기, AI 학습데이터 솔루션 등을 전시하며 연구 성과의 실용화 가능성을 강조했다.
행사 기간 중에는 기업 대상 온라인 기술상담회도 진행돼 기술이전, 연구장비 활용, 창업 지원 등 맞춤형 협력이 이뤄진다.
이건우 DGIST 총장은 “이번 전시를 통해 DGIST의 미래전략분야를 국내외 산업계와 공유할 수 있어 의미가 크다”며 “연구개발, 인재 양성, 기술사업화를 아우르는 글로벌 연구 허브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FIX 2025는 대구시가 주관하는 글로벌 혁신 전시회로, ‘한국판 CES’로 불리며 최신 기술과 산업 트렌드를 소개한다. DGIST는 이번 행사에서 지역 혁신 허브, UAM 시범사업 등 미래 비전도 함께 제시하며 산업계 협력 네트워크를 확대했다.
/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