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가 주최하는 ‘2025 대구여성영화제’가 오는 30일부터 11월 1일까지 3일간 메가박스 대구프리미엄만경관 4관에서 열린다.
이번 영화제는 ‘우리는 모든 거리를 초월해’를 주제로 세대, 언어, 경계, 경험을 넘어 연결되는 여성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총 12개 섹션, 25편의 영화와 25명의 감독·평론가가 참여하며, ‘지역과 삶의 자리’, ‘몸과 기억의 서사’, ‘연결, 이해 그리고 치유’라는 세 가지 키워드로 여성의 시선에서 사회와 예술을 재조명한다.
30일 개막식에서는 분단과 경계 속 평화를 모색하는 여성의 시선을 담은 개막작 ‘날 선 평화의 경계’가 상영된다. 같은 날 단편섹션 1 ‘사라진 삶의 자리’에서는 신도시 개발로 터전을 잃은 자연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들이 소개되며, 기획토크 1 ‘감독×감독: 나의 노동이 여전히 투명한가요’에서는 청소노동자의 비가시화된 노동 문제가 논의된다.
31일에는 ‘몸과 기억의 서사’를 주제로 단편섹션 2에서 ‘소년 실격’, ‘무지개 배낭클럽’, ‘자매의 등산’ 등 여성의 성장과 연대, 자기 정체성을 탐구한 작품들이 상영된다. 이어 장편영화 ‘메릴 스트립 프로젝트’와 기획토크 2 ‘Deposition: 사라진 목소리의 빈자리를 채우기’, 심연섭 국제영화비평가연맹 한국본부회장의 강연 ‘타오르는 몸의 기억들’이 진행된다.
마지막날인 11월 1일에는 ‘연결, 이해 그리고 치유’를 주제로 단편섹션 3~5에서 관계와 회복, 세대 간 연대를 다룬 작품들이 상영된다. 폐막작 ‘파기상접: 깨진 그릇 붙이기’는 권력형 성폭력 사건 대응 과정을 통해 치유의 가능성을 전한다.
안숙영 대구여성영화제 집행위원장(계명대 여성학연구소장)은 “서로 다른 세대와 경계를 넘어 연결되는 바람을 담았다”며 “시민과 지역이 함께 만드는 문화적 실천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신채기 계명대 연구처장은 “여성의 시선으로 평등과 연대의 가치를 나누는 뜻깊은 자리”라며 “시민 참여로 이뤄진 이번 영화제는 대구의 공동체 힘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모든 영화는 무료로 상영되며, 온라인 및 현장 예매가 가능하다. 자세한 사항은 계명대 여성학연구소 홈페이지(www.iws.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