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주, 준비는 끝났다… 도시 전체가 APEC 정상회의장

단정민 기자
등록일 2025-10-20 19:52 게재일 2025-10-21 2면
스크랩버튼
보문관광단지 ‘자율주행 셔틀 버스’ 조용히 다니며 미래 지속성 암시
HICO 외관 정비 후 출입통제·국제미디어센터 이동기지국 마무리
경제전시장 엑스포대공원·공식만찬장  라한셀렉트 대부분 완료 단계
Second alt text
경주 보문관광단지. /이용선기자 photokid@kbmaeil.com

지난 19일 오전 경주에 들어서자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 것은 사찰 이름도, 관광지 표지판도 아니었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가 도시의 공기를 지배했다. 

‘APEC 2025 KOREA WELCOME TO GYEONGJU’ 라는 문구가 담긴 현수막과 대형 꽃 조형물이 시선을 사로잡았다.

버스와 택시, 매끈하게 재도색한 배전함까지 APEC 문구를 품었다. 건물 외벽과 신호등 옆에는 안내 표지판이 새롭게 부착됐고, 공사 현장의 소음으로 가득했다던 거리는 이제 정돈된 호흡 속에 팽팽한 긴장을 품고 있었다.

Second alt text
자율주행 셔틀 버스. /이용선기자 photokid@kbmaeil.com

보문단지로 향하는 길목에서는 여전히 공사 인부들이 바삐 움직이고 있었다. 가로수 전정 작업이 이어졌고 조명 기둥이 새로 박히고 있었으며 조경 설치를 위한 장비가 도로 옆에 줄지어 서 있었다. 도심 곳곳에서는 도로포장, 꽃 심기, 야간 경관 정비 등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었다.

한 상인은 “한 달 전엔 흙먼지가 눈에 들어갈 정도로 어수선했는데 지금은 도시가 행사용 옷을 다 입은 느낌”이라고 말했다. 

보문관광단지 입구에는 ‘자율주행 셔틀 운행구간’ 안내판이 걸려 있었고, 자율주행 셔틀이 조용히 지나며 도시의 미래성을 암시했다.

Second alt text
경주화백컨벤션센터(HICO). /이용선기자 photokid@kbmaeil.com

정상회의장인 경주화백컨벤션센터(HICO) 앞에 들어서자 통제선이 멈춰 세웠다. 건물은 이미 외관 정비를 마쳤지만, 보안을 이유로 출입이 철저히 제한됐다. 새로 포장된 주차장에는 일부 공사 자재가 아직 남아 있었고, 안전모를 쓴 작업자들은 마지막 점검을 이어가고 있었다. 외관을 촬영하던 김모씨(49)는 “우리 동네가 세계 정상들이 모이는 무대가 된다고 생각하니 설레면서도 신기하다”고 했다.

HICO 옆에 자리한 국제미디어센터(IMC) 외곽에서는 방송 차량용 전원 공급장치와 위성 송신 장비 설치 작업이 한창이었다. 국내 주요 통신사들이 이동기지국 설치를 마무리하고 있었다. 현장 관계자는 “세계 각국 기자들이 몰려올 것을 대비해 내부 동선과 장비 조율을 마무리 중”이라고 전했다.

Second alt text
경주엑스포대공원 경제전시장. /이용선기자 photokid@kbmaeil.com

정상회의장에서 차로 5분 거리인 경주엑스포대공원은 경제전시장 준비로 한창이었다. 국내 산업의 과거부터 미래 기술까지 총망라한 전시관 내부에서는 전시 부스 구조 확인 작업이 이어졌다. 공사는 대부분 완료됐고, 구체적인 전시 구성만 최종 조율 중인 상황이다. 

경주예술의전당 1층 로비 벽면에는 층별 안내문이 영어로 부착돼 있었고 전시실에는 그림들이 정렬 상태 점검을 받고 있었다. 5층 전망대에서는 정돈된 도시의 모습이 한눈에 들어왔다. 글로벌 리더 1700명이 집결하는 CEO 서밋이 열릴 이곳은 이미 국제 손님을 맞을 준비를 마쳤다. 

Second alt text
라한셀렉트 경주. /이용선기자 photokid@kbmaeil.com

라한셀렉트 경주 대연회장 지하 1층 컨벤션홀은 회청색 카펫 위에 놓인 흰색 벽과 천장이 조용한 긴장감을 자아냈다. 약 1500㎡ 규모의 이 홀은 탁자 설치 여부에 따라 1000~2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고 호텔 측은 밝혔다. 호텔 입구에는 기존에 없던 가림막과 철제 펜스가 설치돼 행사 동선을 보여줬다. 

APEC 협력 숙박업소로 지정된 소노캄 경주는 가장 큰 변화를 겪은 시설 중 하나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1700억 원을 투입해 전면 리모델링을 진행하며 기존 4성급에서 5성급 호텔로 승격됐다. 정상급 숙소 7개가 신설됐으며, 공개된 객실은 툇마루 형태의 거실 등 한국 전통미가 강조된 구조였다. 유럽인 관광객은 “도시 전체가 큰 행사를 앞둔 것처럼 활기가 느껴진다”고 말했다.

Second alt text
국립경주박물관 전경. /이용선기자 photokid@kbmaeil.com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신라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립경주박물관 신라역사관에는 관람객들로 북적였다. 많은 이들이 황금빛 왕관에 푹 빠졌고, 짧은 탄식을 내뱉는 이들도 있었다. 야외전시장의 성덕대왕신종 앞에도 긴 줄이 이어졌다. 

애초 정상회의 만찬장 후보지였던 부속건물은 APEC 공식 만찬이 라한호텔 대연회장으로 변경되면서 아직 용도가 확정되지 않았다. 정상회담이나 기업 포럼 등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부속건물 앞에서는 ‘인증샷’을 남기려는 방문객들로 가득찼다. 

APEC 의전홍보과 관계자는 “이번 경주 APEC은 도시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단정민기자 sweetjmini@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