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조강생산·철강산단 생산 모두 감소, 서비스·수산업도 동반 부진 소비·투자 지표 일제 하락, 지역경기 회복세 제동
포항을 중심으로 하는 경북동해안 경기가 지난 8월부터 냉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포항본부가 16일 발표한 ‘2025년 8월 경북동해안지역 실물경제동향’에 따르면 포항·경주·영덕·울진·울릉을 포함한 경북동해안의 주요 산업지표가 전년 같은 달보다 일제히 둔화됐다. 제조업과 수산업이 부진한 가운데 서비스업도 혼조세를 보이며, 지역경기 회복세에 제동이 걸렸다.
△ 포스코 조강생산 9.9%↓···철강산단 생산액 10.3%↓
8월 한 달 포스코 포항제철소의 조강생산량은 117만2000t으로 전년동월대비 9.9% 감소했다. 포스코 전체 생산량(299만t)도 4.6% 줄었다. 같은 기간 포항철강산업단지의 생산액은 1조1000억 원으로 10.3% 감소했으며, 1차금속(-12.1%)과 석유화학(-5.4%) 부문이 특히 부진했다.
경주의 자동차부품 생산지수도 3.1% 감소했다. 지역 생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자동차부품산업은 수출 감소(-8.8%)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 관광객 ‘희비’···경주 보문단지 -22%, 울릉도 +3%
서비스업은 지역별로 온도차가 뚜렷했다. 경주 보문단지 숙박객 수는 17만8000명으로 전년 대비 22.2% 감소했다. 내국인 관광객이 24% 줄어든 반면 외국인은 79% 늘었지만, 콘도·리조트 이용객 감소(-44.1%)가 두드러졌다.
반면 울릉도 관광객은 3.4% 증가한 4만9천 명으로 집계돼 대조를 보였다. 포항운하 방문객(-1.1%)과 크루즈 탑승객(-1.9%)은 소폭 감소했다.
수산업도 위축됐다. 경북동해안 수산물 생산량은 0.3만t으로 23% 감소했고, 생산액 기준으로는 27.8% 줄었다. 어류(-21.5%)와 연체동물(-27.2%)이 감소세를 이끌었다.
△ 수출입 ‘반토막’···자본재·건축투자도 급감
수출은 8억5000만 달러로 전년동월대비 18.7% 감소, 수입은 6억2000만 달러로 40.8% 급감했다. 철강금속(-17.1%), 화학공업(-14.2%), 기계류(-11.5%) 등 주력 품목이 모두 줄었다. 포항(-16.8%)과 경주(-27.0%) 모두 감소세를 보였다.
소비지표도 부진했다. 포항·경주 주요 유통업체 판매액은 8.5% 감소했으며, 식료품(-9.1%), 의류(-10.8%) 부문이 타격을 입었다. 다만 가전제품은 11.8% 늘었다.
투자지표 역시 급격히 위축됐다. 자본재 수입액은 45.3% 감소, 건축착공면적(-77.5%)과 허가면적(-26.2%) 모두 줄었다.
△ 부동산시장도 ‘냉기’···포항·경주 아파트값 나란히 하락
아파트 매매가격은 포항·경주 모두 전월대비 0.2% 하락, 전세가격도 각각 -0.2%, -0.1%로 떨어졌다. 주택 매매건수는 전년동월대비 8.8% 감소해 거래 절벽이 이어졌다.
△ “철강·관광·건설 3대 축 동반 부진···지역경제 하방압력 지속”
지역 경제전문가들은 “철강산업 부진이 투자·소비·건설로 전이되는 악순환 구조가 나타나고 있다”며 “하반기에도 회복세가 제한적일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특히 수출 감소세와 내수 위축이 겹치며 “포항·경주를 중심으로 한 경북동해안 산업벨트 전반이 경기 저점 국면에 머무는 양상"이라며 "지역의 핵심동력인 철강산업의 조기 회복을 위해 정부가 법적 제도적 지원책을 시급히 마련해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