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 지자체 ‘중요직무 수당’ 도입률 전국 최하위권

고세리 기자
등록일 2025-10-14 19:58 게재일 2025-10-15 4면
스크랩버튼
이상식 의원, 17개 시도 현황 분석
도입률 10%…근로의욕 저하 우려
이상식 국회의원. 

대구시와 산하 기초단체의 중요직무 수당 도입률이 전국 최하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직무 수당은 업무 중요도와 난이도 등이 높은 직무를 맡은 직원에게 지급하는 수당이다.

14일 더불어민주당 이상식 의원(사진)이 전국 17개 시·도의 중요직무 수당 도입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전국 243개 광역·기초자치단체 가운데 해당 제도를 시행 중인 곳은 32.9%에 그쳤다.

광역단체 가운데 대구시는 아직 시행조차 하지 않아 직원들의 근로의욕 저하가 우려된다. 대구지역 8개 기초단체 중에는 달성군만이 중요직무 수당을 지급 중이다. 이에 따라 대구 전체 도입률은 10%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고 이는 부산(5.88%), 경남(10.53%)과 함께 전국 최하위권에 머물러 있다.

 대전시는 광역·기초단체 모두 100% 도입으로 전국 최고 수준을 기록했고, 울산(66.67%), 경기도(59.38%)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나머지 대부분의 지역은 50%에 못 미쳤다.

중요직무 수당은 직무의 중요도, 난이도, 협업 정도, 인건비 예산 등을 고려해 해당 업무 담당자에게 별도의 보상을 지급하는 제도로, 지방공무원의 사기 진작과 행정서비스 질 향상 차원에서 각 지자체 재량으로 도입된다. 행안부 기준에 따라 전체 정원의 24% 범위에서 지급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지급 기준과 대상은 지자체장이 결정한다.

이 의원은 “지방정부별 재정 여건과 인사체계의 차이로 도입 속도에 편차가 있지만, 대민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중요직무 수당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고세리기자 ksr1@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