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손에 희망을 가슴에 역사를, 호미곶이 전하는 이야기

등록일 2025-10-16 15:48 게재일 2025-10-17 12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바다와 육지를 하나로 연결하는 상생의 손.

한반도에서 해가 가장 먼저 뜨는 곳, 포항 호미곶은 그 상징성만으로도 많은 이들의 발걸음을 이끄는 특별한 장소다. 태양이 수평선 너머로 떠오를 때, 바다와 하늘, 땅이 하나가 되는 이곳은 단순한 해맞이 명소를 넘어, 평화와 공존, 그리고 시간을 관통하는 메시지를 품고 있는 공간이다. 호미곶은 그 풍경만큼이나 깊은 의미를 가진 조형물과 문화유산들을 품고 있어, 포항을 찾는 이들에게 특별한 기억을 선사한다.

호미곶을 대표하는 가장 상징적인 조형물은 바로 ‘상생의 손’이다. 바다 위에서 하늘을 향해 솟구친 이 거대한 손은 인간의 상생과 평화, 협력의 의미를 담아 설치된 것이다. 이는 2000년 새천년 해맞이 행사를 위해 1999년에 조각하고 설치된 것으로, 육지에는 그와 마주 보는 또 하나의 손이 세워져 있다. 두 손은 마치 서로를 향해 닿으려는 듯한 형상을 이루며, 바다와 육지가 조화롭게 연결된다는 상징을 표현한다. 특히 새해 첫날, 찬란한 해가 바다 위 손바닥 위로 떠오를 때의 아름다움은 매년 수많은 방문객들을 이끌어, 새해의 시작과 희망의 순간을 함께 나누는 장소가 된다.

Second alt text
2022년 국 제항로표지협회(IALA)에서 세계등대유산으로 선정된 호미곶 등대.

호미곶의 또 다른 보물은 ‘호미곶 등대박물관’이다. 이곳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근대식 등대 중 하나로, 1908년에 완공된 이후 한 세기가 넘는 세월 동안 동해안을 지나는 수많은 선박들에게 길잡이 역할을 해왔다. 박물관 내부에는 국내외의 다양한 등대 관련 유물과 자료가 전시되어 있어, 등대의 역사와 항로의 변화, 그리고 바다를 지키는 이들의 삶을 느끼고 체험하는 교육의 장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상징들 속에서도 ‘영원히 꺼지지 않는 불꽃’은 특히 깊은 의미를 지닌다. 이 불꽃은 2000년 새천년의 시작을 기념하여 설치된 것으로, 독립운동의 성지인 안동 임청각에서 채화한 불꽃, 6·25 전쟁 당시 낙동강 전선에서 채화한 불꽃, 그리고 제주 4·3 평화공원에서 가져온 평화의 불꽃이 하나로 합쳐져 만들어졌다. 이는 대한민국의 아픈 역사와 평화에 대한 염원을 상징하며, 한반도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불멸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끊임없이 타오르는 이 불꽃은 우리 민족이 겪어온 고난과 희생, 그리고 화해와 공존을 향한 의지를 상징적으로 담아낸다.

이 ‘영원한 불꽃’은 전국 여러 기념 장소에서도 점화의 근원으로 삼아 활용되고 있으며, 국민들의 기억 속에 대한민국의 역사를 상기시키는 상징물로 자리매김해 왔다. 특히 매년 현충일이나 주요 기념일에는 이 불꽃을 중심으로 추모와 기념 행사가 열리고, 불꽃을 통해 독립운동가들과 순국선열들의 희생을 기리는 의미가 강조된다.

Second alt text
호미곶에서 만난 돌문어.

호미곶은 이처럼 단순한 관광지를 넘어, 자연과 인간, 역사와 미래가 공존하는 상징적인 장소다. 이곳에 서 있으면, 한반도의 시작점에서 모든 이야기가 처음부터 다시 시작되는 듯한 감정을 느끼게 된다. 바다 위에 떠오르는 손, 백 년 넘게 불을 밝히는 등대, 그리고 꺼지지 않는 불꽃은 우리에게 말없이 많은 이야기를 건넨다. 포항을 찾는다면, 그 이야기의 시작점인 호미곶에서 천천히, 그러나 깊이 있는 시간을 보내보는 건 어떨까.

/김소라 시민기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