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스틸법제정 지연에 미국 관세 영향 큰 철강, 바이오제약, 자동차, 이차전지 등 중심 영향
미국발 반도체 호재에 코스피가 3600선을 단숨에 넘어섰다.
하지만 대구·경북 지역 상장기업들은 대체로 하락세를 보이며 지역 증시와의 온도차가 두드러졌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61.39포인트(1.73%) 오른 3610.60에 마감했다. 지수는 장 초반부터 사상 처음 3600선을 돌파해 한때 3617.86까지 치솟으며 장중 최고치를 경신했다. 연휴 전 마지막 거래일(2일)에도 3549.21로 사상 첫 3500선을 넘어선 데 이어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번 급등은 연휴 기간 미국 증시의 강세와 AI 반도체 업황 기대감이 맞물리며 외국인 매수세가 집중된 결과다. 외국인은 이날 하루 유가증권시장에서 1조600억원을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주도했다. 개인(5020억원 순매도)과 기관(5940억원 순매도)은 차익 실현에 나섰다.
특히 외국인 자금은 전기·전자 업종으로 쏠렸다.
삼성전자는 이날에만 5998억원이 순매수되며 주가가 6% 이상 급등, 지수 상승의 절반 이상을 견인했다.
이는 최근 오픈AI 샘 올트먼 CEO의 방한과 미국 AMD의 대규모 AI 반도체 공급 계약, 엔비디아 젠슨 황 CEO의 낙관론 등 글로벌 AI 투자 사이클의 재점화가 반영된 결과다.
미국 정부가 엔비디아의 아랍에미리트(UAE) 수출을 승인한 것도 투자심리를 자극했다.
이날 한미반도체(18.39%), 대덕전자(15.31%), 제주반도체(9.35%) 등 중소형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종목도 동반 급등하며 시장을 이끌었다. 다만 전체 930개 유가증권 종목 중 상승 종목은 276개(29.7%)에 불과해, ‘쏠림장세’ 우려도 제기됐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연휴 기간 글로벌 상승분을 국내 시장이 단숨에 따라잡은 장세였다”며 “다만 상승 폭이 반도체 대형주에 집중돼 체감 상승률은 낮았다”고 진단했다.
반면 대구·경북 지역 증시는 대체로 약세를 면치 못했다.
대구 상장사 58곳 중 상승 종목은 14곳(24%), 경북 지역 상장사 70곳 중 상승은 22곳(31%)으로, 전체 128개 중 36개사(28.1%)만 상승 마감하는 데 그쳤다.
외국인 매수가 반도체 중심으로 집중된 반면, 대구·경북의 주력 산업인 자동차·철강·이차전지 분야는 미국발 트럼프 관세의 영향이 큰 업종이라는 점에서 외국인들의 매수세가 크지 않았던 영향으로 보인다.
포항의 한 지역경제 전문가는 “주식시장은 미래 지향성을 나타내는 선행지표라는 점에서 아직도 국회나 중앙정부의 K스틸법 제정에 대한 확실한 로드맵과 의지가 강력하게 느껴지지 않는다는 점을 투자자들도 알고 있다”며 “항상 정권이 바뀔 때마다 포스코를 뒤흔드는 과거 방식에서 벗어나 오직 국익과 국가경제만을 바라보는 시각에서 정책의 강약과 완급을 조절해야만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국제 경제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우리 기업들이 생존할 힘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