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여 행렬 재현부터 체험 프로그램까지···세대 공감의 장으로 주목
영주시 문수면 무섬마을에서 열린 ‘2025 영주 무섬외나무다리축제’가 지난 5일 전통상여행렬 재연을 끝으로 3일간의 일정을 마무리했다.
‘흐르는 시간 위에 서다, 무섬마을’을 주제로 한 이번 축제는 전통문화 계승과 현대적 재해석을 결합해 관광객과 주민들의 호평을 받았다.
축제는 개막식에서 외나무다리 퍼포먼스와 전통혼례를 시작으로 경전성독 합동공연, 무섬 놀음 한마당 등 다채로운 공연이 펼쳐졌다. 특히 어린이 퍼레이드, 마당극, 전래놀이극 등 가족 단위 관람객을 위한 프로그램과 퓨전마당놀이 ‘덴동어미 화전가’는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눈길을 끌었다.
축제의 하이라이트인 전통상여행렬 재연은 하얀 백사장과 외나무다리를 배경으로 옛 방식 그대로 재현되며 세대 간 공감을 형성했다.
심연숙(58·원주시)씨는 “외나무다리축제는 다양한 볼거리와 전통문화가 있어 좋은 추억을 새기는 기회가 됐다“고 말했다.
이동연(13·대전시)군은 “상여행렬은 처음 보는 모습이다. 옛날에 장례식을 치르는 모습이라고 부모님이 알려줬다”며 ”무거운 것을 어떻게 들고 먼 길을 다녔는지 상상이 안간다“고 말했다.
무섬마을은 350년 역사의 전통 가옥과 강, 물안개가 어우러진 풍경으로 유명하다. 특히 길이 150m, 폭 30cm의 외나무다리는 과거 마을과 뭍을 잇는 유일한 통로였으나, 현재는 주민과 출향민의 노력으로 복원돼 축제의 상징으로 자리잡았다.
올해 축제는 기존 2일에서 3일로 기간을 확대하고, 주민 참여와 고택 공간 활용을 강화했다. 체험 행사로는 겨메기 체험, 전통놀이, 맨발 걷기, 느린 편지 쓰기, 전통수공예 찻자리 등이 운영됐으며, 천연염색 전시와 샌드아트 포토존, 외나무다리 야간조명 등으로 분위기를 더했다.
/김세동기자 kimsdy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