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금희 경북도 경제부지사가 24일 “대구경북(TK) 신공항 건설은 이재명 대통령 결정사항”이라고 밝혔다.
양 부지사는 이날 대구 남구 대구아트파크에서 열린 아시아포럼21 정책토론회에서 TK신공항 사업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해 “패싱은 없다. 최근 김윤덕 국토부장관이 TK신공항 이전 예전지인 의성을 방문해 확인했다"고 말했다.
양 부지사는 “TK신공항은 전체 18단계 중 12.5단계까지 와 있다. 각 지자체 간 이견도 조정이 끝났고 이제 설계 단계로 넘어가면 된다”며 “광주는 시작도 못 했다. 그런 단계랑 (TK신공항이) 같이 발맞춰서 할 것이 아니라 TK신공항을 먼저 잘 개발해 그 모델을 광주가 그대로 가지고 가 개발하면 어떻겠냐”고 제안했다.
다만 자금 조달 문제는 대통령의 결단이 필요하다고 못 박았다.
양 부지사는 “기부대양여 방식이다 보니 건설 자금을 어떻게 조달할지가 핵심"이라며 "LH가 공사에 참여하고 정부가 이자를 부담해야 한다. 법에도 ‘모자라는 부분은 정부가 책임진다’고 돼 있다. 결국은 대통령의 결정”이라고주강조했다.
양 부지사는 이재명 정부가 내세운 ‘5극 3특’ 구상에 대해서도 의견을 내놨다. 그는 “대구·경북, 부산·울산을 하나의 경제권으로 봐야 한다. 경주에 SMR 국가산단이 있고, 이를 뒷받침하는 두산 노빌리티가 창원에 있다"며 "자동차 부품 산업도 경산, 영천, 경주 전역에 걸쳐 울산과 맞닿아 있다. 이렇게 묶어야 SOC 타당성이 올라가고 정책연합도 힘을 받는다”고 주장했다.
양 부지사는 최근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된 대구교육감 출마설에 대해 부인했다.
그는 “내가 직접 출마를 언급한 적은 단 한 번도 없다. 교사 출신이라는 이유로 주변에서 가능성을 거론하는 것일 뿐”이라며 “정치권에서는 말도 안 되는 얘기가 소설처럼 퍼진다. 예전에도 내가 가만히 있는데 공기관장으로 간다는 소문이 돌았다. 이번 교육감 출마설도 똑같은 맥락”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자신의 향후 정치적 행보와 관련해선 가능성을 열어뒀다. 양 부지사는 “지금은 APEC이라는 큰 행사를 앞두고 있다. 그중 한 축을 내가 맡고 있기 때문에 다른 문제를 생각할 여지가 없다. 모든 문제는 APEC 이후 판단하겠다”며 “모든 상황은 닥쳤을 때 최적의 선택을 하는 것이지, 지금 하겠다 안 하겠다고 말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이재명 정부에 대해서는 “출범 후 아직 시간이 짧아 단정하기 어렵다”면서도 “실용주의 노선을 택하겠다고 말씀하셨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의도 쪽에서 일어나는 일은 반기업적인 법들이 통과돼 상당이 우려스럽다”고 평가했다.
양 부지사는 다음달 경주에서 열리는 APEC에서 CEO 서밋 준비 상황을 공개하며 “이번 CEO 서밋은 과거와 달리 2박 3일이 아닌 3박 4일 일정으로 진행된다"며 "‘퓨처 테크 서밋’이라는 세션을 신설해 첨단 산업 분야에서 세계적 트렌드와 기업 간 교류를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엔디비아 젠슨 황 CEO,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거론되고 있고, 애플·TSMC·구글 등도 참석 가능성이 있다. 중국은 시진핑 국가주석이 방한하면 알리바바·틱톡 등 경제 사절단이 함께 올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만찬장 변경 논란에 대해서도 해명했다. 양 부지사는 “애초 경주박물관을 만찬장으로 검토했지만 참석 인원이 폭증했다. 정상들뿐 아니라 글로벌 CEO들이 합류하면서 기존 장소로는 수용이 불가능했다”며 “80억 원이 투입된 시설은 CEO 서밋 세션과 방산·조선 등 굵직한 산업별 회담 장소로 활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양 부지사는 “APEC은 외교 행사가 아니라 경제 협의체다. 국기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도 중국·대만·홍콩이 함께 참여하기 위해서다. 이번 행사의 중심은 미·중 정상회담과 한국의 역할, 그리고 CEO 서밋”이라며 “세계가 한국을 주목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은희기자 jange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