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지금은 아빠들도 ‘육아휴직시대’

등록일 2025-09-23 18:03 게재일 2025-09-24 12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시원해진 날씨에 아이들이 산책하고 있다. 아이들은 엄마와 아빠가 함께 육아할 때 더 건강하게 자란다.

최근 출생아 수가 반등한 것처럼 육아휴직을 하는 아빠들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주위를 보면 아침에 출근 대신 아기 유모차를 밀고 다니는 모습을 보거나 아이를 어린이집에 데려다주고 더운 여름날 아이와 도서관에서 시간을 보내는 아빠를 보는 건 낯설지 않다. 육아와 돌봄이라는 영역은 보통 엄마들의 역할로 여기고 있지만 이제는 아빠들도 책임을 함께 나누고 아이를 돌보는 시간이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고용보험에 가입된 일반 회사의 남성 근로자 육아휴직 사용률도 증가 추세다. 지난 7월 고용노동부의 고용행정통계 발표 자료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1~6월) 육아 휴직급여 수급자 중 남성 비율은 36.4%로 나타났다. 지난해(31.6%)보다 훨씬 높아진 수치다. 상대적으로 육아휴직을 하기 쉬운 공무원들의 남성 육아휴직은 2024년 50%로 두 명 중 한 명이 사용했다.

2년 전, 육아휴직을 사용한 김정현(37)씨는 “육아휴직을 신청하겠다고 했을 때 크게 말리는 사람은 없었다. 실제로 6개월 쓰고 나니 정말 소중한 시간이었다. 아이의 성장하는 모습을본다는 건 아빠로서 큰 보람이었다”고 했다.

경북과 포항에서도 중소기업의 남성 육아휴직과 유연근무에 대해 장려하고 있고 회사에서도 권장하는 분위기다. 한 예로 포항의 중소기업인 파인스에서 올해 남성 직원 4명이 육아휴직을 하고 1명은 단축 근무를 하게 했다. 남성 직원의 육아휴직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바뀌면서 육아휴직에 큰 고민 없이 아빠도 당연히 해야 하는 것으로 여기는 회사의 적극적인 분위기가 있었다.

이렇게 아빠들의 육아휴직이 높아진 이유는 직장에서의 근로 시간 단축과 육아휴직수당이 높아진 것도 한몫했다. 육아휴직을 망설이게 한 경제적인 부분도 지난해보다 지원 금액이 올라 육아휴직 시 최대 450만 원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또 육아휴직수당의 상한액이 올라가고 사후 지급금이 폐지된 이유도 컸다. 하지만 아직은 공무원들과 일반 회사 간의 차이는 있다. 그럼에도 요즘 젊은 아빠들은 육아휴직을 택한다. 그들은 일과 회사보다는 가족의 행복한 삶에 더 우선순위를 두고 있어서다.

아이와 하루 종이 같이 있으면 아이의 먹거리를 만들어야 하고 잠을 못 자기도 하고 여러 가지 육아의 어려움이 있다. 식당에서 식사할 때도 신경이 쓰이는 건 마찬가지다. 하지만 휴직하기 전에는 몰랐던 아내의 육아 고충과 서로의 역할에 대해 소통하고 아빠라는 진짜 정체성과 사랑을 알게 된다.

그러나 아빠육아휴직자들은 사회적인 시선이 불편할 때가 있다. 아직은 아이의 주 보호자를 엄마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다. 아이가 아파서 간 병원에서도 아빠가 있는데도 엄마는 같이 오지 않았냐는 시선을 느끼기도 하고 육아하는 아빠를 기특하게 바라보기도 한다.

현재 육아를 하고 있는 아빠들은 육아휴직을 두고 자신의 커리어와 육아휴직 사이에 고민이 있었지만 소중한 지금을 선택했다. 그들은 “ ‘대신 일할 사람은 있지만 대신 할 아빠는 없다’라는 유명한 말이 있다. 돈은 나중에 벌 수 있지만 이 시간은 지나가면 다시 오지 않는다. 아내 혼자서 육아를 할 수 없다. 서로 부대끼면서 성장해야 가족이다“라고 말하며 아빠 육아휴직을 적극 추천했다.

/허명화 시민기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