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억 투입 국보·보물 보존·전시 최적 공간 탈바꿈 세계유산 품은 영주의 브랜드를 강화하는 계기 될 것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영주시 부석사가 소장한 국보·보물 문화유산의 보존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부석사 박물관 리모델링 공사를 18일 착공한다.
박물관 환경 개선 사업은 2018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이 된 부석사 홍보와 의상대사 화엄 일승 사상을 펼친 화엄종찰 부석사의 가치를 높여 기념할 수 있도록 부석사의 역사와 국보·보물을 소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 의상대사와 부석사 역사, 불교 정신을 알리는 영주시의 문화역사 교육의 장으로 활용과 시설 개선에 따라 현대적인 전시기법과 연출로 쾌적한 환경 속에서 문화유산을 관람할 수 있도록 시설을 보수해 영주시의 새로운 관광명소로 부각 될 것으로 기대된다.
새롭게 단장하는 전시관은 화엄사상을 펼친 의상대사의 기념관 또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기념하는 부석사 기념관으로 성격 변경과 최적화된 수장고 시설, 4D영상관 등 첨단전시 연출 도입, 화엄사상과 불교문화를 주제로 한 다양한 체험 콘텐츠를 도입한다.
시설은 공조시설 위치 변경 및 방음시설, 주변 경관과 조화성 강화, 전기 인입 지중화, 카페 등 박물관 편의 시설 신규 조성, 건식 스프링쿨러 교체 등 사업이 추진 된다.
2027년까지 3년간 진행되는 박물관 리모델링 사업은 연면적 1651㎡ 규모에 국비 17억 500만원, 도비 19억 9000만원, 시비 19억 9000만원 등 총사업비 56억 8500만원이 투입된다.
영주시는 이번 리모델링을 위해 2023년 4월 기본계획 수립 후 2025년 6월 국가유산청으로부터 최종 설계승인을 받아 이달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갔다.
리모델링의 핵심은 2026년 말 귀환 예정인 국보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보존·전시 공간 마련이다.
고려 우왕 3년(1377년)에 제작된 이 벽화는 현존하는 국내 최고(最古) 사찰 벽화로 일제강점기인 1916년 조사당 벽에서 분리돼 석고로 보강된 뒤 보관돼 왔다.
2020년 국립문화유산연구원으로 이운된 이후 현재까지 정밀 진단과 전면 보존처리가 진행 중이다.
이 외에도 고려 목판, 오불회 괘불탱, 북지리 석조여래좌상, 석조석가여래좌상 등 부석사 경내에 산재한 다수의 국가 지정 문화유산은 산불 등 자연재해에 취약했다. 이번 리모델링으로 박물관이 유물 보존에 최적화된 공간으로 단장하면 이들 문화유산을 박물관으로 이관해 안전하게 보관·전시할 수 있게 된다.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년) 의상대사가 창건한 한국 화엄종의 근본 도량으로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으로 2018년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부석사 총무 등화 스님은 “이번 리모델링은 부석사 조사당 벽화를 비롯한 국가유산의 보존·관리를 위한 최적의 공간을 마련하는 것을 넘어 사찰 박물관의 기능을 재정의하는 문화재생 사업”이라며 “세계유산을 품은 영주의 브랜드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세동기자 kimsdy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