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스코 노사 임단협 무분규 타결···철강경쟁력·안전·지역상생 ‘세 축’에 방점

김진홍 기자
등록일 2025-09-17 18:53 게재일 2025-09-19 6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포스코 노사가 17일 서울 포스코센터에서「2025년 임금 및 단체협약 조인식」을 실시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왼쪽부터) 김성호 노동조합 위원장, 이희근 포스코 사장. /포스코 제공

포스코 노사가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을 파업이나 교섭결렬 없이 매듭지었다. 17일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열린 조인식은 잠정합의 도출(5일)과 조합원 찬반투표 가결(13일)에 이어 공식 절차를 마무리한 자리였다.

이번 합의가 갖는 의미는 단순한 임금 인상 수준을 넘어선다. 노사가 오랜 대립과 갈등의 패턴을 벗어나, 철강 경쟁력 복원·작업장 안전 강화·지역 상생이라는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합의안을 짜냈기 때문이다.

합의안의 핵심은 기본임금 11만원 인상과 함께 성과보상체계 강화를 위한 PI(Performance Incentive) 제도 신설이다. 그동안 포스코 노사는 기본급 조정에 집중하는 구조였으나, 이번에는 회사 성과와 직원 보상을 직접적으로 연계하는 장치를 마련했다. 이는 글로벌 철강 수요 둔화와 고강도 경쟁 상황에서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려는 포석으로 해석된다.

또 ‘철강경쟁력 강화 공헌금’ 250만 원과 우리사주 취득 지원금 400만 원이 포함돼 직원들의 재무적 동기와 장기적 주인의식을 높이려는 의도가 반영됐다.

작업장 안전은 이번 임단협에서 비중 있게 다뤄졌다. 특히 작업중지권 확대 조항이 눈에 띈다. 이는 현장 근로자가 위험 상황을 직접 판단해 작업을 중단할 수 있는 권한을 넓힌 것으로,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두겠다는 노사 공동 의지의 표현이다. 최근 철강업을 비롯한 다양한 업종에서 안전사고 발생 시 사회적 파장이 커지는 점을 고려하면, 기업 이미지와 지속가능 경영을 지키기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 볼 수 있다.

합의안에는 지역사랑상품권 50만 원 지급이 포함됐다. 이는 정부의 민생회복 기조에 동참하는 동시에, 포항·광양 등 사업장 지역 소상공인과의 상생을 강화하려는 조치다. 단순한 일회성 지원을 넘어, ‘K-노사문화’를 실천하려는 실험적 시도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번 합의의 또 다른 특징은 무분규 타결이다. 과거 포스코 노사는 교섭결렬 선언, 파업 찬반투표 등 갈등 국면을 반복해 왔다. 그러나 올해는 치열한 논쟁에도 불구하고 합리적 조율을 통해 대립 없이 합의를 이끌어냈다. 이는 글로벌 철강업계 불확실성 속에서 “내부 갈등보다 경쟁력 회복에 힘을 모으자”는 공감대가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지금 세계 철강산업은 공급 과잉, 보호무역 강화, 탈탄소 압박이라는 3중고에 직면해 있다. 포스코 역시 수익성 압박과 ESG 경영 부담이 커진 상황이다. 이번 임단협이 무분규로 타결된 것은 내부 체질 개선을 위한 첫 단추로 평가된다.

노사 간 신뢰가 구축되면 향후 설비투자, 탈탄소 기술 도입,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 굵직한 현안에 대응하는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결국 올해 임단협은 단순한 ‘연봉 인상 협의’가 아니라, 포스코 노사관계의 구조적 전환점이자 글로벌 경쟁력을 되살리기 위한 공동 선언에 가깝다.

포스코의 2025년 임단협은 △임금·성과보상 병행 △안전 강화 △지역 상생이라는 3대 기조 위에서 무분규로 합의됐다. 노사 모두가 코앞의 이해득실보다는 장기적 생존전략에 무게를 둔 결과다. 향후 이 합의가 포스코뿐 아니라 한국 철강산업 전반의 ‘노사 상생 모델’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다만 지역의 한 중소 철강업계의 임원은 “포스코와는 회사 규모나 다른 모든 부문에서 열악한 지방 중소 철강사의 입장에서는 포스코 임단협이 있을 때 마다 ‘우리도 그만큼은 아니더라도’라는 식의 노사 간 갈등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그렇지 않아도 어려운 상황인데 앞으로 어떻게 해야할 지 걱정이 많다”고 밝혔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