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 5시. 겨우 눈이 떠졌다. 알람을 5시부터 6시까지 대여섯 개를 설정해 놓았었다. 대충 준비하고 나서자 벌써 여섯 시에 가깝다. 동서울버스터미널까지, 지하철로 한 시간 계산, 7시 10분까지 모이기로 했다.
6호선에서 3호선으로, 다시 2호선으로 갈아탄다. 택시보다 마음 편한 지하철이다. 가면서 무념이다. 아무 생각도 하지 않는다. 평화롭다. 평창까지 아침 일찍 출발하면 2시간 남짓이다.
춘원학회를 같이하시는 전순영 시인, 이자성 선생께서 와 계시다. 발표자들, 토론자들도 모두 제때 도착이다. 우등버스 같은 버스 안, 편안하다. 예산이 없어 쩔쩔매다 어렵게 후원을 얻어 준비할 수 있었다.
버스는 휴게소에도 들르지 않고 아침 길을 달린다. 모두 고단한 아침 잠에 빠져든 듯. 나는 장문석 선생을 붙들고 이런저런 이야기를 청한다. 그는 최근에 오무라 마쓰오 선생에 관한 책을 냈다. 오무라 마쓰오, 사에구사 도시카스, 김윤식, 1970년, 일본 좌파, 윤동주, 김지하···. 이야기는 멀리, 깊은 곳까지 흘러간다.
전순영 시인은 그 사이에 근 십 년 가까이 힘든 병을 치러내셨다 했다. 아제르바이잔 유학생 레일라는 새벽에 인천에서 출발했다. 목하, 고단한 잠에 빠져 있다. 진우동, 린커쉬도 모두 유학생, 이번 준비에 대단한 활약을 했다. 먼저 문학관에 가 플래카드도 걸고 줌 장비로 점검했다. 그러고 보니, 신주희, 김산아, 장제희, 작가들이 동승했다. 오늘 세미나에서 연구자들 발표에 질의를 해주기로 했다.
9시 반 넘어 버스는 이효석문학관 밑에 제대로 당도한다. 10시부터 시작이다. 이효석 아드님 이우현 선생과 이주리 재단 실장님이 반겨 주신다. 봉평의 이효석 문학 선양회 분들도 나오셨다. 지금은 이효석 문화제 축제 기간. 일요일인데도 문학관의 내방객이 많다. 실무를 총괄한 구자연 선생, 몹시 바쁘다.
올해의 학술행사 주제는 이효석의 문제작을 다시 해부하는 것. 발표자만 모두 여덟 명에, 질의자도 여덟, 토론자가 넷이다. 하루 행사치고는 많다. 다섯 시까지 강행군이다. 단편소설 ‘하얼빈’의 주석적 연구를 발표한 부용은 바다 건너에서 비행기를 타기 직전에야 비자가 만료된 걸 았았다던가. 줌으로 발표를 해주기로 했다. 첫 창작집 ‘노령근해’(동지사, 1931)부터 ‘해바라기’(학예사, 1939)까지, 또 장편소설 ‘화분’(인문사, 1939)과 ‘벽공무한’(박문서관, 1941)까지, 또 희곡 ‘역사’('문장', 1939년 12월)까지 발표들을 했다.
특별한 것은, 평창 작가 김도연 씨가 자신이 읽은 이효석 작품들에 나타난 평창, 진부, 봉평, 대화, 월정 같은 곳들에 대해 아주 상세하고도 흥미진진한 이야기들을 해준 것, 그리고 정선의 시인 전윤호 씨가 와서 유머러스하고도 평온한 토론을 펼친 것. 올해 세미나 준비하면서 각별히 신경 쓴 것은 평창 분들, 내방객들까지 함께 할 수 있는 학술토론회를 만드는 것이었다. 이 작가와 시인들의 역할이다. 발표자들도 빠짐없이 PPT까지 준비했다.
이제 겨우 다 마쳤다. 끝나고 저녁식사하러 내려오면서, 문학관 전망대에 섰다. 낮은 산들에 둘러싸인 봉평의 푸른 들, 녹 빛들이 한눈에 너무나 시원스럽다. 학술도 학술이지만, 이 빛을 만나려고 여기 왔던 것인가. 바로 그러했을 것이다.
/방민호 서울대 교수·국문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