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전통시장 큰 위기⋯활성화 도모해야”

등록일 2025-09-07 15:19 게재일 2025-09-08 18면
스크랩버튼
정기환 대구경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

지난 7월 대구·경북지역 특성화시장 간담회를 통해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지원하는 특성화시장 상인회장님들을 만날 기회가 있었다. 이 자리에서 대형 산불과 급변하는 유통 환경으로 지역 전통시장이 큰 어려움에 직면했음을 알게 됐다.

전통시장의 어려움은 대형마트와 온라인 쇼핑의 공세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산업통상자원부 통계(2024)를 보면 온라인 유통업 매출은 전년 대비 15% 증가해 전체 유통업 매출의 절반 이상(50.3%)을 차지할 정도로 구매 패턴이 급변하고 있다. 편리한 온라인 쇼핑과 대형마트의 원스톱 서비스 앞에서 전통시장의 경쟁력은 약화되고 있다.

또한, 대구를 비롯한 구미·포항·안동 등 지역도시 경제 기반 약화로 전반적인 구매력이 감소했고, 이는 지역 전통시장의 매출 감소로 이어졌다. 특히, 경북 북부지역은 산불로 인해 주민 생활 기반이 위협받고 관광객의 발길이 끊기면서 지역 경제 전반에 큰 타격을 입었다.

그렇다면 지역 전통시장의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변화와 혁신, 그리고 소비자 중심의 사고가 필요하다.

첫째, 온라인 접목을 통한 편리성 강화가 필요하다. 온라인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전통시장도 카드 결제 시스템을 확대하고 배달 및 배송 서비스를 도입해야 한다. 또 전통시장의 정겨운 분위기나 상인들의 이야기가 담긴 온라인 콘텐츠를 개발해 홍보에 적극 활용하는 것도 필요하다.

둘째, 소비자 신뢰를 높이는 기본 서비스 개선이 필요하다. 일일이 가격을 물어 보고 흥정하는 소비자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가격표시제를 정착시키는 방안도 있다.

셋째, 전통시장의 다원적 가치 발견과 특성화 전략이다. 전통시장은 대형마트·이커머스와 경쟁하기보다 고유한 문화와 지역 특색을 활용한 차별화가 중요하다. 예를 들어, 서울 광장시장이나 통인시장처럼 관광 명소화해 체험 공간을 제공하거나, 지역 농부와 협력해 특색 있는 상품을 판매하는 전략이 효과적이다.

넷째, 젊은 세대 유입을 위한 새로운 시도가 필요하다. 야시장 활성화와 비어있는 점포를 청년몰이나 공방 등으로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다. 전주 남부시장의 야시장은 젊은이들이 선호하는 음식을 개발하고 비어있는 공간을 청년몰로 활용해 성공적인 사례가 됐다. 

마지막으로, 협동조합을 통한 상인 자생력 강화가 필요하다. 상인들이 협동조합을 결성해 공동의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전통시장의 주요한 해법이 될 것이며, 상인간의 유대감 및 활성화를 이끌 수 있다.

전통시장 활성화는 단기간에 달성되기 어렵다.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 상인들의 노력, 소비자의 참여가 조화를 이루어야 된다. 대구경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은 올해 특성화 시장(문광형 10곳, 디지털 5곳, 첫걸음 5곳) 지원 사업을 진행 중이며, 산불 피해가 컸던 경북 북부(안동·청송)는 국비 13억 원을 지원받는 지역상권 활력지원 사업에 선정됐다.

전통시장은 단순한 거래 공간을 넘어 지역의 역사와 공동체 정신이 깃든 소중한 공간이다. 지역민 여러분의 관심과 애정이 전통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다. 

이번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활용해 가족과 함께 가까운 전통시장을 방문해보는 것은 어떨까? 대구경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은 전통시장이 현대적 매력으로 재탄생할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하겠다.

/정기환 대구경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

특별기고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