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안동 양반들 별식 ‘헛제삿밥’과 ‘다식’을 아시나요?

홍성식 기자
등록일 2025-09-09 19:54 게재일 2025-09-10 16면
스크랩버튼
[연재] 경북의 맛과 멋

아래 기사는 본지 홍성식 기자가 한국기자협회 인터넷 홈페이지에 연재하고 있는 ‘역사와 스토리가 있는 영남 음식’을 일부 수정·보완한 것이다…/편집자 주

Second alt text
그 옛날 안동 양반들이 밤에 먹던 별식 헛제삿밥.

경상북도 안동은 기자들에게 매력적인 취재처가 분명하다. 

 

가까이는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사에서부터 멀리는 16세기 조선 성리학의 빛나는 편린, 그 흔적이 곳곳에 남아있으니. 서원(書院)과 고택(故宅)의 고풍스런 검은 기와는 또 어떤가. 어떤 사람이건 설레게 만드는 힘이 있다.

 

도처에 역사적 숨결이 깃든 하회마을을 산책하듯 유유자적 걸으며 그 옛날 할아버지와 할머니의 삶을 떠올리고, 밤이 이슥해지면 박재서나 조옥화가 빚은 ‘쨍한’ 안동소주 한 잔 맛보는 것. 이만한 여행지를 찾기가 쉽지 않다. 

 

좋은 술엔 먹음직한 음식이 따르는 게 정한 이치. 안동엔 먹을거리도 적지 않다. 아예 골목 하나를 통째 차지하고 들어서 군침을 돌게 만드는 안동 갈비는 헐하진 않지만 비싼 값을 한다. 

 

석쇠에 잘 구운 한우 갈비를 먹고 나면 서비스로 나오는 찌개도 더할 나위 없이 맛있다. 발골(拔骨) 과정에서 생기는 자투리 고기와 매운 풋고추를 넣어 칼칼하게 입 속을 정리해준다.

 

짜지도 싱겁지도 않게 소금간이 잘 배어든 고등어를 구워 먹는 것도 안동 여행의 빼놓을 수 없는 즐거움. 안동 간고등어는 아이들에겐 ‘밥도둑’ 주당들에겐 ‘술도둑’이라 불릴 만하다. 

 

안동식혜도 그렇다. 대체 누가 식혜에 고춧가루와 무를 넣을 생각을 할까? 안동 사람들이 아니라면. 기자가 마셔본 바 숙취 해소에도 그저 그만이다.

 

서너 해 전이다. 나흘을 안동에 머물렀다. 취재 반·휴가 반의 여유로운 일정이었다. 그때 또 하나 안동의 별미와 즐겁게 조우했다. 이름하여 ‘헛제삿밥’. 흥미로운 작명이다.

 

안동엔 제 나름 양반이라 큰소리치는 가문이 여럿이다. 그런 집엔 제사가 많다. 그럴 수밖에 없다. 부친과 모친, 조부와 조모만이 아니라, 증조부와 고조부 제사까지 모시는 경우가 흔한 탓이다.

 

제사상에 올리는 음식은 정갈하고 담백하다. 자극적인 양념을 최대한 배제한 것이 대부분. 그런데, 비단 제사 때가 아니라도 이런 것들이 먹고 싶을 때가 있다. 

 

그런 날이면 이른바 ‘양반 집안’에선 탕국을 끓이는 동시에 생선과 전을 굽고, 온갖 나물을 데쳐 가마솥에 갓 지은 고슬고슬한 밥과 함께 야식으로 먹었다. 요즘 애들이 밤늦게 피자나 양념통닭을 배달시켜 먹는 것처럼. 그게 ‘헛제삿밥’의 유래라면 유래다. 

 

헛제삿밥의 백미(白眉)는 갖은 나물을 넣은 비빔밥이다. 거긴 고추장 대신 집에서 만든 조선간장을 넣어 간을 맞춘다. 안동의 제각각 가문마다 비빔밥 맛이 다른 이유다. 

Second alt text
헛제삿밥의 백미 나물비빔밥.

헛제삿밥은 집에선 만들어 먹기가 번거롭고 힘도 든다. 그러나 걱정 마시라. 지금이 어떤 시절인가? 안동엔 헛제삿밥을 전문으로 파는 식당에 몇 군데 있다. “어느 식당이 최고”라고 다툴 필요도 없다. 대부분 식당이 다 먹을 만하니까. 글을 쓰는 지금도 입 안 가득 침이 고인다. 

 

박재서 명인이 빚은 알코올도수 45%의 안동소주를 반주로 헛제삿밥을 먹었던 날을 떠올리면, 그깟 왕후장상(王侯將相)이 부럽지 않다.

 

안동엔 종갓집이 많다. 대부분의 종가(宗家)는 날아갈 듯한 기와를 이고 선 멋들어진 고택(古宅)이다. 퇴계종택, 학봉종택, 농암종택, 경당종택, 제산종택 등이 그렇다. 

 

그것들 가운데 학봉종택과 농암종택에선 하룻밤 자는 호사도 누렸다. 이른바 ‘종택(고택) 스테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서였다.

 

농암종택에선 종손과 아침을 함께 먹었다. 모자라지도 넘치지도 않는 깔끔한 밥상이 수 세기 전 선비의 조반(朝飯)이 어떠했는지 짐작케 해줬다. 

 

학봉종택에서 맛봤던 다식(茶食)은 색깔과 디자인 면에서 ‘미슐랭 3스타’에 올라도 전혀 이상하지 않은 수준이었다. 

 

그날 밤 앞에 놓인 다과상 위에선 계절과 무관하게 각기 다른 빛깔의 장미가 피어났고, 잣과 흑임자는 별로 다시 태어났으며, 조청에 절인 사과와 잘 말린 곶감은 혀를 녹였다.

Second alt text
학봉종택에서 맛본 화려한 색채의 다식.

20세기 이전이라면 헛제삿밥도, 다식도 양반들만 먹었을 게 분명하다. 힘겨운 매일의 노동과 어떻게 해도 벗어날 수 없는 궁핍 속에서 가난한 백성이 그런 걸 만들어 먹는 건 언감생심이었을 터. 

 

그래. 정말이지 다행이다. 기자가 살고 있는 지금이 양반과 상것의 구분이 사라져 형식적 평등이라도 이뤄진 21세기라는 게.   
/홍성식기자 hss@kbmaeil.com

기획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