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덕 포항시장이 지난 1, 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 있는 백악관과 국회의사당 앞에서 ‘동맹국인 한국에 대한 철강 관세 부과를 멈춰달라’는 현수막을 들고 시위를 했다. 시위에는 미국 버지니아한인회 김덕만 회장을 비롯한 회원들과 포항시 공무원 등도 함께 참여했다.
정부의 외교적 노력만으로 포항철강산업의 위기를 극복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고, 시장이 직접 철강업계의 절박한 상황을 미국 정부에 알리기 위해 시위라는 방법을 택한 것이다. 이 시장은 이번 캠페인을 시작으로 코트라(KOTRA) 등과 연계해 철강관세 인하와 지역기업의 북미시장 진출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후속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다. 미국 퇴직 경제관료들이 포진한 글로벌컨설턴트 대표와도 만나 철강품목 관세인하의 당위성을 설명하는 자리도 가진다.
이 시장은 이날 미국 무역대표부와 상무부, 국제무역위원회에 보내는 건의문에서 “미국정부가 동맹국인 한국에 50%라는 살인적 철강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정당화될 수 없다”면서 “영국처럼 최소 25% 수준으로 조정하거나 제한적 쿼터 예외를 적용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이 시장은 이 호소를 미국이 받아들여 국제사회의 호혜적 무역환경 조성에 기여할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했다.
국내 철강산업의 심장부인 포항은 현재 관세 폭탄으로 지역경제 기반이 붕괴될 위기에 처했다. 지난달 28일 산업통상자원부가 포항을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했지만 이 조치만으로는 복합적인 위기를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다. 포스코와 현대제철 같은 대기업들도 포항지역 일부 공장의 가동을 중단하거나 축소했고, 협력업체들은 일감부족으로 줄줄이 매출이 급감하고 있다. 결국 일자리가 줄어들면서 도시 전체의 활력이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 시장의 백악관 시위로 당장 관세가 인하되는 가시적인 효과가 발생하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이번 시위가 국내외 언론의 주목을 받으며 문제의 심각성을 공론화하는 데는 크게 기여했다. 미국 정부에도 경각심을 주는 효과는 분명히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