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터빈채택 사업자 우대 선정 하반기 추가 입찰도 공공성강화 2030년까지 해상풍력 시장확대
2030년까지 100조원대 초대형 해상풍력 시장이 열릴 전망 속에 공공기관 주도 첫 경쟁입찰에서 국산 터빈 채택 사업자들이 모두 선정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상반기 해상풍력 경쟁입찰 결과 689MW 규모의 공공주도형 사업 4곳이 낙찰됐다고 지난 1일 밝혔다. 반면, 외국산 터빈을 사용하려던 일반형 사업 2곳은 모두 탈락했다. 정부가 에너지 안보와 공급망 내재화를 정책에 본격 반영한 첫 사례다.
낙찰된 사업은 △서남권 해상풍력(400MW) △한동·평대해상풍력(100MW) △다대포해상풍력(99MW) △압해해상풍력(80MW) 등이다. 가장 큰 규모인 서남권 프로젝트는 한국전력과 발전 자회사들이 출자한 한국해상풍력이 수행하며, 나머지 3개 사업은 두산에너빌리티가 개발한 10MW급 대형 터빈을 적용한다. 이에 따라 두산 터빈은 처음으로 상업용 시장에 본격 진입하게 됐다. 서남권 프로젝트 역시 두산 또는 유니슨이 개발 중인 국산 터빈을 채택할 방침이다.
정부는 이번 입찰에서 공공사업자에게 정책 우대 가격을 적용하고, 국산 터빈 사용시 추가 인센티브를 제공했다. 안보평가 지표를 신설하고 공급망기여도 평가를 강화해 외국산 중심 사업자의 진입을 제한했다. 덴마크 에너지기업 CIP가 참여한 해송3해상풍력, 명운산업개발이 추진한 한빛해상풍력은 유럽산•외국산 조립 방식 계획을 제출했으나 모두 탈락했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이 청문회에서 “공기업조차 외국산을 선호하는 모습을 보고 피가 거꾸로 솟는 듯한 서운함을 느꼈다”고 밝혔듯 이러한 문제의식이 제도화된 결과로, 향후 공공 중심의 해상풍력 시장 구조가 강화될 가능성이 크다.
에너지업계는 태양광 산업처럼 시장 성장 과실의 해외 유출을 막기 위한 조치로 해석했다. 해상풍력은 태양광 대비 대규모 개발이 가능하고, 부가가치가 높아 공급망의 조기 내재화는 국내 제조업과 부품산업에 파급 효과가 크다.
정부는 2030년까지 해상풍력 설비 14GW를 도입할 계획이다. 1GW 단지 조성에 6~7조원이 소요되는 점을 감안하면 총규모는 약 100조원에 달한다. 산업부는 하반기 추가 입찰을 예고하며 현장 의견을 반영한 제도 개선과 공공성 강화를 지속 추진할 방침이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