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안동댐에 쌓인 중금속 퇴적물, 정부가 나서야

등록일 2025-09-01 18:18 게재일 2025-09-02 19면
스크랩버튼

경북도 안동시 낙동강 상류에 건설된 안동댐은 총저수량 12억4800만t으로 국내 4위 규모의 다목적 댐이다. 연간 18만명이 사용할 수 있는 전력도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댐 수질 오염과 지역개발 등 복합적인 문제점으로 자주 논란의 중심에 선다. 중금속 퇴적과 녹조 확산, 축산 폐수의 유입 등으로 환경이 위협을 받는가 하면 주민들도 댐으로 인한 교통단절, 생활 불편 등을 자주 호소한다.

특히 봉화지역 폐광산과 석포제련소 등에서 유입된 카드뮴, 비소 등의 중금속이 퇴적물로 쌓이면서 이제는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지경에 도달했다는 학계의 지적은 심히 우려스럽다. 퇴적물이 이미 독성화돼 날씨에 따라 수질오염의 주범으로 돌변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전문가들 사이에 안동댐 상류 지역에서는 준설 등을 함부로 해선 안 된다는 말이 불문율처럼 나돌 정도로 2차 오염 가능성을 걱정하고 있다.

지난 29일 열린 ‘안동댐 중금속퇴적물 문제해결 정책토론회’에 참석한 충남대 최만식 교수는 “안동댐 상류 퇴적토에서 카드뮴, 수은, 아연, 비소 등 주요 중금속이 법적 기준을 6-10배 이상 초과해 검출됐다”고 밝혀 또 한 번 충격을 주었다. 그는 일부 지역에서는 “저서생물의 생존율이 50% 이하로 떨어져 생태계 붕괴 수준에 도달했다”고도 설명했다.

같은 날 국립경국대 김영훈 교수도 “퇴적토 속 중금속은 안정된 상태로 남아 있는 것이 아니라 홍수기와 갈수기 등 수위 변동기가 되면 재용출 되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댐 수질을 악화시키는 악성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말했다.

안동댐에 대한 기존의 수질관리가 수중 오염에만 집중돼 퇴적토에 대한 문제는 사실상 도외시되고 있다는 학자들의 설명이다.

대구시의 제안으로 안동댐 물을 대구시민 식수원으로 사용하는 논의가 지금은 흐지부지 되었지만 안동댐 물의 식수원 사용은 부적절해 보인다. 안동시가 많은 예산을 들여 공공처리시설을 설치하는 등 노력을 하고 있지만 그 정도로는 생태 보존을 유지하는 데는 역부족이다. 근본적 문제 해결을 위해선 정부 차원의 해법을 찾는 것이 순리다.

경주의 재발견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