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적 의미로는, ‘극단적으로 보수적인 성향이나 그런 성향을 가진 사람과 세력’을 극우(極右)라고 한다. 극우에 대한 학술적 정의는 학자에 따라 다양하지만, 20세기 들어 파시즘과 나치즘이 대표적 극우 이념으로 자리 잡으면서 국제정치학에서 확립된 개념이 되었다.
오늘날에 와서는 급진적 보수주의(반자유주의), 극단적 국가주의(권위주의), 배타적 민족주의, 원리적 종교주의 같은 특징을 갖는다. 정리하자면 극우란 한 사회에서의 다양성을 거부하며, 사회적 순수성을 강조하고, 자기 집단이 공유하는 공동의 가치를 위해 개인의 자유를 희생할 수 있다고 믿으며, 이상적인 공동체에 위협이 될 수 있는 것을 배척하려는 정치적 성향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극우는 외국인·이민자를 배척하고 인종적·문화적 우월주의 성향이 강하고, 의회 민주주의보다는 강력한 지도자, 국가 권력, 질서를 우선시하는 경향도 있다. 이는 단순히 ‘강경한 보수’와는 구분되며, 민주주의 제도와 자유권을 위협할 수 있는 배타적·권위주의적 정치사상을 가리킨다. 현대 사회에서는 경제적 불평등, 난민·이민 문제, 세계화의 충격, 안보 불안 등이 극우적 정서를 자극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반면 극좌(極左)는 극단적인 좌파성향을 말한다. 일반적인 극좌사상의 공통점은 급진적 평등사상을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학자나 국가, 역사적 맥락에 따라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진다. 사회민주주의나 급진적 자유주의를 포함하는 급진좌파(Radical left)가 있고, 사회민주주의 좌파로 자본주의를 강하게 비판하지만 전면 부정하지는 않는 강성좌파(Hard left)가 있다. 확고한 반자본주의를 지지하고 마르크스-레닌주의나 트로츠키주의처럼 노동자 혁명을 통한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설립하려는 극좌파(Extreme left)가 있는가 하면, 노동자 직접민주주의를 강조하고 정당체제를 거부하며 아나키즘·평의회공산주의 등이 해당하는 초좌파(Ultra left)도 있다.
한국에서는 종북주사파들로 구성이 되어 비밀혁명조직을 결성하는 등 폭력·혁명적 활동을 하다가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위배되는 정당’으로 판정되어 헌법재판소에 의해 해산된 통합진보당이 대표적인 극좌세력이었다. 그 밖에도 민노총이나 전교조 등 각계각층에 침투한 극좌세력에 의해 대다수 국민들까지 좌경화가 되는 현상이 일어났다. 그에 비한다면 마땅히 극우로 지목될 정당이나 단체의 활동은 전혀 없었다. 좌파들이 극우프레임으로 몰아가는 소위 ‘태극기부대’도 비민주적이거나 폭력적인 활동을 한 적이 없었다.
대한민국에 극좌는 있어도 극우는 없다. 태극기를 들고 광화문에 모여 헌법이 보장하는 기본권에 따라 민주적이고 평화적으로 벌이는 시위를 극우로 몰아가는 것은 사악하고 교활한 극좌적 프레임일 뿐이다. 극좌세력이 폭력적으로 쟁취하려는 목표는 물론 자유민주주의나 시장경제가 아니다. 그들은 전체주의나 공산·사회주의의 실현을 위해서 자유민주주의체제의 전복을 우선과제로 삼는다.
/김병래 수필가·시조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