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국내 품종 지상부 분석···어린순·잎에 아티초크 수준 CQA 함유
농촌진흥청이 국내 재배 고구마의 지상부(어린순·잎·잎자루·줄기)에 기능성 성분이 풍부하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특히 어린순과 잎에서 항산화·혈당 조절 효과가 있는 카페오일퀸산(CQA) 함량이 높아 기능성식품 소재로 활용 가능성이 주목된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소득식량작물연구소는 2024년 국내 고구마 6개 품종을 노지 재배해 CQA 함량을 분석했다. 조사 결과, 품종·부위별 차이가 컸지만 전반적으로 어린순과 잎에서 높은 수치가 확인됐다.
‘하얀미’ 어린순은 100g당 3,600mg, 잎은 2,300mg의 CQA를 함유해, 아티초크(1,000~3,500mg/100g)와 비슷하거나 그 이상이었다. 잎자루 채소용 ‘통채루’의 어린순도 1,493mg이 검출됐다.
CQA는 커피, 아티초크 등에 많이 함유된 폴리페놀 성분으로, 항산화 작용과 혈당 조절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CQA의 혈당 조절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α-글루코시데이즈 억제 실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3-카페오일퀸산’은 혈당강하제 아카보스(acarbose)보다 최대 5배 강한 억제 효과를 보여, 당뇨병 예방 및 관리용 기능성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지상부 가공 특성 평가에서는 ‘통채루’와 ‘호풍미’가 잎자루가 길고 굵어 손질이 쉽고, 건조 후에도 형태와 조직이 잘 유지됐다. 조리 시에도 부드러운 식감을 보여 건나물로 가공해 연중 공급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크다는 분석이다.
한선경 농촌진흥청 소득식량작물연구소 소장은 “고구마 어린순과 잎은 항산화와 혈당 조절 성분이 풍부한 기능성 식재료”라며 “앞으로 전용 품종 보급과 가공·식품 산업 활용 방안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