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청년이 돌아오고, 어르신이 머무는 포항을 꿈꾸며

등록일 2025-08-19 18:12 게재일 2025-08-20 18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김일만 포항시의회 의장

거리를 걷다 보면, 세대마다 다른 표정을 마주하게 된다. 바쁘게 발걸음을 옮기는 청년의 얼굴에는 기대와 불안이 교차하고, 골목길 평상에 앉은 어르신의 표정에는 그리움과 고단함이 함께 묻어난다.

놀이터에서 뛰노는 아이들의 웃음소리는 여전히 힘차지만, 그 아이들이 자라서도 이 도시에서 꿈을 키울 수 있을지에 대한 걱정이 부모들의 마음 한편을 채우고 있다.

도시는 건물과 도로가 아니라, 그 안에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로 완성된다. 도시를 지탱하는 진짜 힘은 시민의 삶 속에 있다. 그래서 포항이 지속 가능하기 위해서는 한 세대만을 위한 도시가 아니라 모든 세대가 함께 살아 숨 쉬는 도시여야 한다.

청년이 돌아오고, 어르신이 머무르고, 아이들이 자라는 도시. 그 균형이 깨지면, 아무리 산업이 발전해도 도시는 서서히 힘을 잃는다.

포항은 한때 전국에서 가장 역동적인 도시 중 하나였다. 하지만 지금 많은 청년이 대학 졸업과 동시에 이곳을 떠난다. 일자리 부족, 낮은 임금, 한정된 문화·여가 공간, 주거 불안정이 청년의 발목을 잡는다.

“좋은 일자리가 있다면 떠날 이유가 없다”라는 말, “월세 걱정 없이 창업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라는 말, “퇴근 후에도 즐길 거리가 있어야 한다”라는 그들의 말을 곱씹으며 그 이유를 해결할 방안 마련에 몰두해 왔다.

청년이 돌아오는 포항을 만들기 위해서는 취업·창업·주거를 하나의 연결된 과제로 보고 종합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지역의 주력산업과 연계한 청년 전문인력 양성, 스타트업 인큐베이팅, 장기 거주형 청년 임대주택 확대, 청년 문화거점 조성 등은 단순한 정책 목록이 아니라 도시의 미래 설계도인 것이다.

고령화는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하지만 나이가 든다는 것이 사회에서 멀어진다는 뜻이 되어서는 안 된다. 포항은 어르신이 존중받고, 건강하고, 활기차게 살아갈 수 있는 도시가 되어야 한다. 의료·돌봄·여가·사회참여가 균형을 이루는 고령친화도시, 이는 복지가 아니라 품격이다.

홀로 사는 어르신의 고독사를 예방하는 생활 안전망, 경로당을 넘어서는 복합문화공간, 지역사회 멘토로 참여할 기회 등은 단순히 어르신을 돌보는 차원을 넘어, 함께 살아가는 공동체를 만드는 과정이다.

포항의 미래는 아이들에게 달려 있다. 하지만 학부모들은 교육 인프라, 안전, 보육 부담으로 고민이 크다. 지역의 특성을 살린 교육과 돌봄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

해양과학·친환경 에너지·문화예술 등 포항이 가진 자원을 교실 밖에서 아이들이 체험할 수 있는 교육. 안전한 통학로, 질 높은 방과 후 프로그램, 학부모의 부담을 덜어주는 보육 환경이 뒷받침된다면, 아이들은 포항에서 자라난다는 것을 자랑스럽게 여길 것이다.

세대가 함께 행복한 도시는 하루아침에 만들어지지 않는다. 청년이 안심하고 돌아와 뿌리내리고, 어르신이 존중받으며 편안히 살아가고, 아이들이 꿈을 키우는 환경이 촘촘히 이어져야 한다. 그 속에서 서로 다른 세대가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함께 어울리며, 서로의 경험과 에너지를 나누는 순간들이 쌓여야 진짜 ‘함께’의 도시가 된다. 

/김일만 포항시의회의장

특별기고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