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보수(保守)란 전통과 질서를 중시하고, 급격한 변화보다는 점진적이고 신중한 변화를 선호하는 정치·사회적 태도를 말한다. 법과 질서, 가족제도, 시장경제의 자유, 국가 정체성 유지 같은 기존의 제도와 가치가 사회 안정의 기반이라고 보고 그것을 지키려는 성향이 강하다. 반면 진보(進步)는 사회의 불평등이나 부조리를 변화·개혁하려는 입장이다. 기존의 제도나 전통이 불합리하다고 판단되면 과감하게 바꾸어서 인권, 평등, 복지의 확대를 지향한다.
물론 보수와 진보에는 각기 장단점이 있다. 보수에는 급격한 변화로 인한 혼란을 막고 사회의 기반을 지키려는 장점이 있는가 하면, 변화가 필요한 상황에도 그에 대한 대처가 너무 느리거나 소극적일 수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에 비해 진보는 시대의 변화에 맞추어 불합리한 점을 혁신적으로 개선한다는 장점과 함께 급격한 변화가 부작용과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현실 정치에서는 순수한 의미의 보수나 진보는 드물고, 상황과 사안에 따라 두 가지 성향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좌파와 우파라는 구분은 18세기 프랑스혁명에서 비롯됐다. 혁명 당시 국민의회의 좌석 배치에서 의장의 오른쪽에는 왕권과 전통질서를 지지하는 인물들이 앉았고, 왼쪽에는 공화주의와 개혁을 주장하는 인물들이 앉았던 것에 유래하여 우파와 좌파라는 개념이 생겨났다. 따라서 우파는 보수적 성향을, 좌파는 진보성향을 의미하게 되었다. 그 후 유럽에서 산업혁명과 민족주의, 사회주의가 확산되면서 보수와 진보가 본격적인 사상체계로 자리 잡게 되었다. 당시 보수는 귀족·지주·성직자들이 중심이 되어 왕정·교회·시장경제를 옹호하였고, 진보는 자유주의자·공화주의자·노동운동가를 중심으로 평등, 참정권 확대, 복지 등을 추구하였다. 그러나 이는 역사적 출발점일 뿐, 이후 각국의 정치 지형 속에서 좌·우, 보수·진보의 관계는 복잡하게 변해왔다.
오늘날 세계 각국은 다양한 형태의 보수와 진보가 공존한다. 미국에서는 작은 정부, 낮은 세금, 전통적 가치, 자유시장, 강한 국방을 중시하는 공화당이 보수 성향을 보이고, 복지 확대, 인권·환경 보호, 소수자 권익 확대를 강조하는 민주당이 진보성향이다. 영국은 보수당과 노동당이 교대로 집권하며 정치적 균형을 유지해왔고, 프랑스는 국민연합(RN)과 공화당이 우파, 사회당과 좌파연합이 진보진영을 대표한다. 독일은 기독교민주연합(CDU)이 보수, 사회민주당(SPD)이 진보지만, 녹색당과 자유민주당(FDP) 같은 제3세력이 정책 방향을 조정하는 중도 실용주의 성향이 강하다. 북유럽은 사회민주주의가 강세이고, 일본은 보수 실용주의가 대세다.
우리나라는 지금 보수와 진보라는 개념보다는 좌파와 우파의 이념적 대립이 극심하다. 정권을 잡은 좌파들은 진보는커녕 낡은 이념에 함몰되어 오히려 퇴행적 행태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결국 국가 정체성을 허물고 그동안 피와 땀과 눈물로 쌓은 공든 탑을 무너뜨리고 말 것이라는 우려를 금할 수 없다.
/김병래 수필가·시조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