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가기 전 지역서 구입하자” 식재료·여행 용품 등 구매 늘어 쿠폰사용 제외된 대형 유통업체 대규모 할인행사로 자구책 마련
“소비쿠폰을 사용해 한결 가벼운 마음으로 휴가를 다녀올 수 있을 거 같습니다”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이 시작되며 시민들의 발걸음이 분주하다.
올해는 이재명 정부의 대선 당시 민생 공약 중 하나인 민생 회복 소비쿠폰 지급일이 휴가철과 맞물리면서 지역 경제의 마중물이 될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소비쿠폰을 활용해 식재료와 여행 용품 등을 구매해 여행을 계획을 잡는 사람도 쉽게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소비 쿠폰이 지역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기에 저마다의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다.
다른 지역으로 휴가를 간다는 직장인 이 모씨(32·대구 서구)는 “휴가 시기에 맞물려 정부에서 민생 쿠폰을 지급해 휴가 때 이용하려고 했는데, 다른 지역에서는 사용할 수 없어 우리 지역에서 물품을 구매할 계획”이라면서 “휴가에 필요한 모든 물품을 준비할 수는 없겠지만 준비할 수 있는 것은 미리 구매하는 등 도움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오는 9월쯤 가족과 함께 여행에 계획을 잡은 직장인 김 모씨(38·대구 달성군)는 “자녀의 어린이집 방학에 맞춰 연가를 짧게 냈다”면서 “무더위에 아이와 함께 민생 회복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있는 시원한 실내 공간을 찾아 떠날 예정”이라고 했다.
반면 대형 유통업계는 여름휴가 시즌을 맞았지만, 소비 쿠폰으로 인해 평소 보다 매장을 찾는 소비자가 줄어들어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지급 대상에 제외돼 대규모 할인 행사 등으로 소비자를 이끌고 있는 것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할인 폭을 키운 자체 프로모션으로 소비자 유입을 끌어내겠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고 밝혔다.
이때문에 소비자들은 동네 마트나 소상공인이나 전통시장을 찾기보다 오히려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도 발생하고 있다.
한 시민은 “쿠폰이 지급된 후 동네 마트를 찾았지만 물품도 적고, 가격도 평소 보다 비싼 것 같다”면서 “저희 가족은 쿠폰으로는 외식하고, 할인 행사 중인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기로 했다”고 털어놨다.
정부는 여름 휴가를 맞아 여행지 바가지 요금 잡기에 나섰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지난 28일 제5차 수석·비서관회의에서 “휴가철을 맞아 어김없이 바가지 요금 문제점이 나타났다”면서 “소비쿠폰의 정책 효과마저 반감시킬 수 있는 만큼 요금 점검, 현장 계도, 행정 처분까지 가용 수단을 총동원해 휴가지 물가를 관리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국관광공사 역시 100명의 국민점검단과 지난 28일부터 약 2주간 전국의 주요 관광지와 시설 등을 대상으로 휴가철 특별점검에 들어갔다.
/황인무기자 him7942@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