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물 안 개구리’가 바깥세상을 모르는 것처럼, ‘영남에 갇힌 국민의힘’은 민심을 모른다. ‘우물 밖 세상의 민심’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깨닫지 못하니 반성과 혁신은 언제나 말뿐이다. 최근 여론조사(한국갤럽, 7월 2주차)에 의하면 당의 지지율이 19%로 떨어졌고, 영남마저 민주당에 역전되었음(TK: 민주당 34%, 국민의힘 27%, PK: 민주당 36%, 국민의힘 27%)에도 ‘마이동풍(馬耳東風)’이다.
국민의힘은 어쩌다 ‘우물 안 개구리’가 되었는가? 편협한 지식과 경험이 전부라고 생각하는 교만과 무지 때문이다. 극우세력과의 동행으로 우경화는 심화되었고, 편 가르기를 하면서 객관성을 잃고 진영정치의 노예가 되었다. 물론 당내에는 혁신을 주장하는 ‘소수의 합리적 보수’가 있지만, ‘다수의 우물 안 개구리들’에게 왕따 당할 뿐이다. ‘열린 마음’으로 반성을 통해 혁신해야 했음에도 ‘닫힌 마음’으로 편협한 정치를 고집했으니 자업자득이다.
게다가 정치인의 소명은 공익(公益)을 추구하는 것인데, 사익(私益)에 눈이 멀었으니 보수의 덕목인 ‘견리사의(見利思義)’는 장식품에 불과했다. 허구한 날 우물 안 개구리들의 권력싸움으로 당은 하루도 조용한 날이 없다. 당은 망해도 나만 살면 된다는 이기주의가 문제였다. 당에서 영남의 중진의원들에게 혈전(血戰)이 예상되는 수도권으로 선거구를 옮길 것을 요구하면 대부분 이를 거부하고 탈당하여 만만한 영남지역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대의(大義)를 위해 소아(小我)를 버릴 줄 모르는 우물 안 개구리들이 중진이면 무슨 소용이 있는가?
이처럼 당은 존폐의 위기에 있는데 소속의원들은 여전히 우물 밖으로 나오려하지 않는다는 데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인적 청산을 요구한 안철수 혁신위원장은 당 지도부의 거부로 사퇴하였고, 그 후임으로 지명된 윤희숙 혁신위원장의 쇄신 요구 역시 온갖 궤변으로 뭉개는데 여념이 없다. 오직 제 밥그릇 챙기는데 급급한 정당이 과연 존재할 가치가 있는가? 국민은 당 해체 수준의 대대적 혁신을 주문하고 있는데, 대선이 끝난 지 이미 한 달 보름이 지나도 전혀 달라진 게 없으니 기가 찰 노릇이다.
국민의힘이 우물 밖으로 나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기존의 고정관념을 버려야 생각을 바꿀 수 있고, 생각이 바뀌어야 변화와 혁신이 가능하다. 고리타분한 사고를 가진 우물 안 개구리들과 과감히 절연해야 우물 밖의 분노한 민심을 받들 수 있다. ‘낡은 보수’의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인식하고, ‘사즉생(死卽生)’의 각오로 과감히 혁신할 때 비로소 우물 밖 세상에 적응하게 될 것이다.
우물 밖 세상에서는 개방적 사고와 합리적 행동이 필수다. 보수 또는 진보라는 이념은 ‘옳고 그름의 문제’가 아니라 ‘다름의 문제’이다. 경직된 사고에 갇히면 우물 안 개구리가 되지만, 개방성과 합리성을 겸비한 자유인은 결코 이념의 노예가 되지 않는다. 국민의힘은 우물 밖으로 나와서 ‘세상은 넓고 변화는 빠르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변창구 대구가톨릭대 명예교수·정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