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해가 떴다.
그러니까 오늘은
환한 사람이 될 수 있을 거야.
야구 모자를 깊숙이 눌러쓰고
나는 180도로
다른 얼굴이 되어가지.
모자 속에 눈이 묻히고
총에 맞아도 웃음이 살아남는
인형의 입술이 되고
그리고 진짜 아침을 먹으면
목 밑에 목이 이어지는 것처럼
오래도록 이야기를 할 수 있을 거야.
마술사의 손을 가진 것처럼
피아노를 칠 수도 있을 거야.
그다음엔 하얀 장갑을 끼고
열 개의 손가락을 가져야지.
사실을 사랑하는 사람이 되는 거야.
―신해욱,‘굿모닝’전문 (‘생물성’, 문학과지성사)
‘나’란 과연 누구이며, 무엇일까. 신해욱의 시에는‘얼굴’,‘눈’,‘손’과 같은 신체에 관한 언술이 많다. 일본 애니메이션‘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는‘가오(얼굴)나시(없음)’라는 독특한 캐릭터가 등장한다. 여기서 가오나시는 온갖 부정성과 이물질이 뒤섞여 과잉이거나 결핍인 현대인의 페르소나를 상징하는 듯하다.
“야구모자를 깊숙이 눌러 쓰고/나는 180도로/다른 사람이 되어야지.”라는 화자의 언술처럼 페르소나란 다른‘나’가 되는 것으로 “총에 맞아도 웃음이 살아남는/ 인형의 입술이 되”듯 그것은 자연인이 아니라 서정시의 내적 요구에 따라 배당된 일종의 배역적 존재인 셈이다. 하지만 “동양적 전통에서‘글’과 ‘사람’은 혼연일체를 이루는 한 몸의 결속체로 인지되어왔다. 하지만“글이 곧 사람이다.”라는 선언적 명제는 정작 페르소나를 품은 현대의 서정시에서는 시인과 페르소나가 두 개로 갈라지게 된다.”(유성호, ‘가히’ 2025년 봄호)
신해욱의 시에는 일인칭 화자가 고백하는 페르소나의 언술이 많다. 가령 이 시집에서 인용되지 않은“나에게는 두 개의 눈이 있다/한 눈으로는 왼쪽을/한 눈으로는 오른쪽을 본다”라든지 “너는 좋아 보이는구나/나는 손가락에 붕대를 감고 있어”“쥐에게도 개에게도 얼굴이 있다는 걸 생각하면/나는 터무니없이 부끄러워지고 풀이 죽는다.” 는 기표들처럼 화자는 미학적으로 가공된 목소리를 통해 다양한 전언을 들려주고 있다. 말하자면 페르소나는 독자나 청자에게 말을 건네는 존재이다.
이어지는 고백들에서는 시인과 좀 더 멀리 분리되거나 해체된 화자를 대면할 수 있다. 이를테면 “나는 수요일이 아닌 채로 수요일을 대신하며 옷을 벗게 된다/나는 그런 욕망에 사로잡혀 수요일이라 할 수 없는 나를 대신 끌어안고/수치를 견디는데/ 그런데 누군가 나보다 먼저 내 방을 사랑하고 있다/ 키가 크고 있다/사소한 훼손도 없이” 이처럼 화자는 시인과 세계, 시인과 작품, 작품과 대상과의 관계를 암시해 주지만 동시에 그 자신이 되기도 한다.
다시 처음의 얼굴로 돌아와서 이런 질문에 답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문학을 혹은 예술을 하는 이유에 대해, 결국은‘자신을 알아가기 위한 것’이라고 말이다. 일상에서 되도록 멀리 가 보려는 것, 그래야 겨우 알 수 있을 법한‘나’란 존재에 대해 서른다섯의 나이에 자살로 생을 선택한 아쿠타가와 류노스케가 140편의 단편 소설을 썼던 이유 또한 답이 될 것이라고 말이다.
실은 이 질문은 나의 질문은 아니었다. 그렇지 않은가. 쓰는 일과 그림을 보는 일이 사람을 섬기고 사랑하는 일과 다르지 않다는 생각이다. 그런데“그림은 왜 그린 대요?”라는 그 질문의 질문을 나는 이해할 수 없었다. 해서 배턴을 넘겼을 뿐.
“하지만, 미안. 좋아하는 것들이 많아져서 너의 그림자를 건드렸다.”
/이희정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