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성산가야시대 고분군

김성문 시민기자
등록일 2025-04-20 19:45 게재일 2025-04-21 12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성산동 고분군전시관에 가면 성산가야 고분군에 대한 역사 자료들을 볼 수 있다. 성산동 고분군의 모습

경북 성주군 성산읍 성산리에 있는 성산(해발 389.2m)의 산줄기를 따라가다 보면 형제처럼 줄지어 있는 고분군을 만날 수 있다. 성주읍이 훤히 내려다 보이는 이런 곳에 고분들이 줄지어 있다는 사실에 신기하기도 하고 놀랍기도 하다.

 

이곳 고분은 가야국의 하나인 성산가야시대 무덤이다. 학계조사에 의하면 서기 5~6세기경 지배층 무덤으로 추정되며 현재 발견된 고분은 모두 129기나 된다. 1963년 사적 제86호로 지정됐다. 

 

고분의 묘장 형태는 한 봉토 내 두 사람 이상을 매장한 순장에 의한 다장묘라고 한다. 크기에 비해 유물은 빈약하다. 일제 강점기 때 유물 발굴 작업이 있었으나 그 결과에 대한 자료가 남아 있지 않다고 한다.  

 

1986년 계명대학교 박물관이 이곳에서 발굴 작업을 벌인 바 있다. 당시 출토된 유물은 대부분 계명대 박물관에 현재 전시 중이다. 여러 종류의 항아리, 접시류, 마구류, 장신구 등이다. 

 

그 중에는 성산가야의 왕비가 착용했을 법한 금귀거리도 있다. 화려하고 아름다운 모습이 그대로 간직돼 있다. 

 

성산가야는 후삼국 때 변한 땅인 성주지역에서 청동기문화를 바탕으로 형성된 고대 왕권국가다. 성산가야는 벽진가야라고 불리기도 했다. 성

주군 벽진면 지명을 따른 것으로 짐작이 된다. 세종 때 간행한 경상도지리지에는 “이곳은 옛날의 벽진국이라고 불렀다”는 기록이 나온다. 

 

이곳 유물은 성산동 고분군전시관에서 관리한다. 이곳에서는 성주의 문화와 역사를 체험할 수 있는 각종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5월 3일부터 참여형 교육프로그램인 ‘별고을 탐험대’가 31일까지 운영된다. 

 

/김성문 시민기자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