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선택 방지’ 조항을 담은 경선룰 때문에 국민의힘이 시끄럽다. 이 조항은 당내 경선을 위한 여론조사를 하면서, 먼저 지지 정당을 물은 후 다른 당 지지자는 조사대상에서 배제하는 방식이다. 경쟁정당 지지자가 고의적으로 ‘약체 후보’를 선택하는 것을 막기 위한 장치다. 이 조항을 도입하면 ‘당심’에 비해 ‘민심’에 강한 후보자들이 피해를 볼 수 있다.
국민의힘 경선후보 중에서는 전직 대통령에 대한 ‘배신자 프레임’에 갇힌 한동훈 전 대표와 유승민 전 의원에게 불리한 조항이다. 반면, 강성 보수층으로부터 지지를 받는 후보들에겐 유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나 나경원 의원, 이철우 경북도지사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유 전 의원은 지난 11일 대구시당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역선택 방지 조항을 넣으면 당심 100%로 후보를 뽑자는 것과 비슷한 제도”라고 반발했으며, 13일 국민의힘 경선에는 출마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국민의힘 경선룰은 두 차례 예비경선(컷오프)을 통해 대선후보를 각각 4명과 2명 순으로 압축하되, 4인 경선에서 과반 득표자가 나오면 2인 경선 없이 후보를 확정하는 방식이다. 1차 컷오프는 ‘일반국민 여론조사 100%’ 방식, 2차 컷오프는 ‘선거인단(당원) 투표 50%·일반국민 여론조사 50%’ 방식으로 진행하며, 여론조사 때마다 역선택 방지 조항을 넣는다. 국민의힘 경선 선거관리위원회는 당헌·당규에 명시된 이 조항을 바꿀 여유가 없었고, 경선 결과에 큰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사실, 역선택 방지조항은 민심을 왜곡시키는 측면이 있긴 하다. 중수청(중도·수도권·청년) 외연확장이 절실한 국민의힘으로선 경쟁력 있는 후보를 내려면 1차 경선 정도는 이 조항을 적용하지 않는 게 순리다. 그러나 넓게 생각해보면, 당심도 결국은 민심의 일부다. 국민의힘 당원들이 이번 대선에서 중수청 외연확장 없이는 자당 후보가 이길 확률이 지극히 낮다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기 때문에 경선과정에서 현명한 결정을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