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시장 권한대행 체제, 막중한 소임 다하길

등록일 2025-04-13 19:37 게재일 2025-04-14 19면
스크랩버튼

홍준표 대구시장의 대선 출마로 공석이 된 대구시장 직무가 11일부터 김정기 행정부시장의 권한대행 체제로 전환됐다.국민의힘 소속으로 출마한 홍 전 시장은 대선 출마와 동시 시장직을 사퇴함으로써 대구시의 권한대행 체제는 내년 지방선거까지 이어진다. 기간으로 보면 약 1년 1개월 정도다.

대구시장 권한대행 체제가 시작되면서 대구시민들은 대구시의 주요 현안들이 제대로 돌아갈지 우려하는 시각이 많다.

민선 8기로 선출된 홍 전 시장은 특유의 추진력으로 그동안 굵직한 지역 현안들을 앞장서 진두지휘해 왔다. 대구의 백년대계 사업인 대구경북 신공항 건설과 대구경북 행정통합을 비롯해 취수원 이전, 군부대 이전, 대구산업구조 개편 등이 대표적 지역현안으로 꼽을 수 있다.

특히 신공항 건설은 특별법 제정을 통해 공공개발 방식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이에 소요될 예산도 정부의 공공자금관리기금을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탄핵정국으로 바뀌면서 이 문제에 대한 정부와 협의가 중단됐다. 관련 특별법도 국회에 계류 중이다. 대구경북특별시 출범을 위한 대구경북 행정통합 역시 더 이상 진전이 없다. 일부에서는 사업 차질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그간 지역현안들은 윤석열 대통령의 지원과 홍 전 시장의 추진력이 어울려 속도를 냈지만 지금은 두 사람 공백으로 사실상 동력이 떨어졌다. 홍 전 시장은 “내가 집권하면 TK 현안 모두 해결된다”고 말했지만 그 말은 공약일 뿐이다.

김 시장 권한대행은 이제 막중한 사명감을 가지고 대구 현안과 마주해야 한다. 김 권한대행은 대구 출신이며 대구시 기획실장으로서 3년 여 근무한 경력도 있다. 지역 사정에 밝아 지역 현안 대처에도 유리하다는 평가가 있다.

지역현안 처리의 절차와 연속성을 잘 유지하고 사업의 당위성을 꼼꼼히 챙겨 새 정부 정책에 반드시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은 국내외적으로 경제가 매우 어렵다. 취약계층과 소상공인을 위한 지역 민생 분야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단체장 이상의 리더십을 발휘해 시민들의 우려를 덜어주어야 한다.

Essay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