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재선충 방제작업에… 경주 남산 문화재 훼손 위기

황성호기자
등록일 2025-04-10 18:00 게재일 2025-04-11 5면
스크랩버튼
경주시, APEC 정상회의 앞두고<br/>총 298억 들여 대대적 벌목 진행<br/>감독 없이 외국인 인부들이 벌목<br/>작업중 통나무 등 부처 타격 피해
문화재 주변에 벌목한 통나무들이 쌓여 있다. /독자제공
문화재 주변에 벌목한 통나무들이 쌓여 있다. /독자제공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경주국립공원 남산의 각종 문화재가 재선충 작업으로 훼손 위기에 놓여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재선충 방제작업 과정에서 외국인 인부들이 감독 없이 작업에 투입되면서 문화재 보호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경주 남산은 국보인 칠불암 석불군을 비롯해 보물 14점과 포석정, 경애왕릉, 삼릉 등 다수의 사적이 분포한 ‘노천박물관’으로 불린다. 지정문화재 외에도 비지정 유물만 760여 점에 이른다.

경주시는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올해 298억 원의 예산을 들여 양남·감포 등 지역의 재선충 감염지에 대한 대대적 방제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 중 국립공원 남산지구에는 68억 원을 투입해 감염된 4만2000그루의 소나무를 벌목해 파쇄·훈증처리할 계획이다. 현재 공정률은 약 70%다.

하지만 작업 현장에서 문화재 훼손이 발생하고 있다는 현장 목소리가 나왔다. 지난 9일 남산을 답사한 한 문화해설사는 “벌목 작업 중 나무가 넘어지며 용장계 절골에 위치한 석조약사여래좌상의 어깨, 허리, 무릎 부위를 타격했다”며 “나무 껍질이 부처의 몸체에 그대로 묻은 흔적도 확인됐다”고 전했다.

벌목작업을 하면서 나무가 쓰러져 경주용장계절골석불좌상을 타격해 나무껍질이 불좌상에 묻어있다. /독자 제공
벌목작업을 하면서 나무가 쓰러져 경주용장계절골석불좌상을 타격해 나무껍질이 불좌상에 묻어있다. /독자 제공

그는 또 “벌목 작업을 맡은 인부는 외국인이었고, 현장에는 한국인 감독도 없었다”며 “문화재 밀집 지역에서 무감독 작업은 이해할 수 없는 행정이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경주시 관계자는 “경주 전역에 재선충 방제작업 현장이 90곳에 달해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며 “공사현장은 2~3일 간격으로 점검하고 있으며, 작업자 대부분이 고령화로 인해 외국인이 투입되고 있다. 매일 아침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관리와 교육을 더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시민들과 문화 관계자들은 “재선충 방제도 중요하지만, 유네스코 등재 지역에서 벌어지는 대대적인 공사인 만큼 문화재 보존 원칙이 우선돼야 한다”며 근본적인 관리 개선을 촉구했다. 

/황성호기자 hsh@kbmaeil.com

동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