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기행 에세이 작가 박시윤의 ‘경주는 흐른다’<br/> <4> 신라 금관(하)
□ 황금 유물이 쏟아진 대릉원 고분들
신라 고분이 펼쳐진 대릉원 일대는 무한한 이야기의 터다. 대릉원 일대는 신라 왕경이 펼쳐졌던 주 무대였다. 그러기에 죽은 후에도 쉬이 떠나지 못했다. 대릉원은 사람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죽은 자의 터가 산 자를 불러들이는 부활의 땅이라 해도 이상하지 않다.
이른 봄, 대릉원의 아침은 눈부시다. 나는 이른 시각부터 대릉원을 바삐 오가며 무엇을 찾고 있었다. “어데 찾능교?” 잔디밭에 플라스틱 의자를 놓고 햇볕을 쬐는 세 어른 중 한 어른이 내게 말을 걸었다. 나는 원하는 대답이 나오지 않을 걸 예상하며 스치듯 말했다. “서봉총이요.” 어른이 답했다. “구스타~프!” 나는 놀라 어른을 바라봤다. “여~ 아잉교~” 어른이 가리키는 곳을 바라보았다. 아무것도 없었다. “여~ 뒤에.” 어른이 다시 등 뒤 잔디밭을 가리켰다. 그제야 이 휑한 곳이 봉분 없는 서봉총이라는 걸 알았다.
일제강점기 경주 대릉원 고분 파헤쳐
건설업자들에 흙·자갈 주고 후원 받아
스웨덴 황태자가 발굴한 ‘서봉총금관’
日 고관대작들, 평양 기생에 걸치게 해
부적절한 행동으로 조선·일본서 분노
□ 고분을 헐어 흙과 자갈을 쓰다
일제강점기 경주의 고분은 파면 팔수록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 경주에 고분 발굴팀이 따로 있을 정도로 일제는 고분에 집착했다. 1926년 5월 중순부터 11월까지 50여 기의 고분에 손을 댔다.
이번엔 웅장한 고분(서봉총)이었다. 고분 발굴 책임자 고이즈미 아키오와 조선총독박물관 경주분관 관장 대리직을 맡고 있던 모로가 히사오는 고분 발굴에 건설업자를 끌어들였다. 자금을 후원받는 대신 고분의 흙과 자갈을 파 쓰게 했다. 당시 경주역 기관차 차고 신축·확장 공사에 많은 흙이 필요했으므로 발굴과 건설 모두에게 유리한 조건이었다. 중장비에 의해 흙과 자갈이 제거되고, 목관 내부가 순식간에 드러났다.
□ 세 번째 신라 금관, 서봉총금관(瑞鳳塚金冠, 보물 제339호) 발굴한 스웨덴 황태자 구스타프 6세 아돌프
이 무렵, 스웨덴 구스타프 6세 아돌프(스웨덴 베르나도테 왕조 제6대 국왕), 황태자 부부가 일본에 와 있었다. 고고학을 공부한 황태자는 동양 고고학에 관심이 많았다. 일제는 자신들이 식민 지배하는 조선과 경주를 소개하고 방문을 권했다. 황태자의 환심을 사 스웨덴과 우호를 다질 절호의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 또한 자국의 고고학적 수준을 세계에 알릴 기회이기도 했다.
황태자가 서봉총 발굴 현장에 도착하자 일제는 직접 발굴에 참여할 것을 권했다. 황태자에 의해 금제 허리띠와 드림장식, 금관이 나왔다. 일제는 한술 더 떠 무덤 이름을 스웨덴의 이름을 따 ‘서전관’으로 하는 게 어떻겠냐고 제안했다. 당시 스웨덴을 한자식으로 ‘서전(瑞典)’이라고 했다. 황태자는 정중히 거절했다. 신라 왕의 무덤에 서양의 이름을 붙이는 건 예의가 아니라는 게 이유였다. 그리고 금관에 장식된 새 세 마리가 있으니 ‘봉황총(鳳凰塚)’이라고 하면 어떻겠느냐는 제안을 했다. 일제는 이미 봉황대가 있어 스웨덴의 한자식 표기 ‘서전(瑞典)’의 ‘서(瑞)’자와 황태자가 발굴한 금관에 봉황이 있으니 ‘봉(鳳)’ 자를 따 서봉총(瑞鳳塚) 이라 했다.
□ 금관 모독 사건 -황금 유물로 치장한 평양 기생 차릉파가 신라 제57대 왕이라고.
서봉총의 발굴 책임자 고이즈미 아키오는 공(功)을 인정받아 1935년 평양부립박물관장으로 부임했다. 그리고 서봉총의 유물을 평양에서도 전시할 것을 요청했다. 전시를 마치고 일본 고관대작들과 연회를 열었다. 술에 취한 고이즈미는 서봉총 유물을 여자에게 씌우고자 했다. 사진을 찍어 나중에 책에 쓰겠다고 했지만, 일종의 과시욕이 발동했던 것이었다. 고이즈미는 연회에 동원된 5명의 기생 중 한 명을 지목했다. 22살 평양 기성권번(기생양성소) 출신 차릉파(車綾波)였다. 금관은 물론 서봉총에서 출토된 금제 허리띠와 금제 드리개, 금제 목걸이, 금귀걸이, 금팔찌, 금반지에 이르기까지 차릉파가 몸에 걸친 순금 유물의 무게는 무려 2관 800돈(10.5㎏)에 달했다.
일본 고관대작들은 황금 관을 쓴 차릉파를 가운데 두고 마구 웃고 희롱했다. 역대 3명의 여왕이 있던 신라, 술에 취한 그들은 신라 마지막 왕(경순왕, 제56대) 이후 천년 만에 부활한 57대 여왕이 차릉파라며 농락했다.
다음날, 연회에 참석했던 고이즈미와 일본 고관대작들은 신라 왕의 혼이 서린 국보급 유물을 가지고 논 것에 대해 입단속했다. 그러나 금관을 쓰고 갖은 유물을 몸에 걸친 차릉파의 사진이 평양 시내에 나돌면서 9개월 만에 언론 기사화되었다. 국보급 유물을 기생의 액세서리로 전락시킨 사건이었다. 스웨덴 황태자를 모셔 기획 쇼까지 해가며 발굴한 유물에 먹칠을 한 셈이었다. 천인공노할 짓거리에 조선 사람들은 물론 일본인의 분노도 치솟았다. 그러나 차릉파는 ‘왕관을 쓴 기생’이라는 별칭으로 오히려 유명해졌다. 고이즈미 관장은 총독부로부터 재발 방지를 위한 견책성 시말서만 썼을 뿐, 평양박물관장직은 유지되었다.
□ 고분 사이에 살았어
여든넷, 나이를 언급하는 어른은 평생 경주를 떠나본 적 없다고 했다. 고분과 고분 사이에 사람이 살았다. “요기, 바로 요, 요 젙에(여기 곁에) 우리 집이 있었어.” 집들이 옹기종기 들어앉아 고분은 죽은 사람을 묻은 무덤이 아닌 뒤란, 마당 앞에 있는 하나의 언덕이나 구릉처럼 인식되던 때였다. 서봉총을 바라보는 어른의 얼굴에 아득한 세월이 묻어났다. “어릴 적엔 여기서 뛰놀았어. 저 우에도(위에) 올라가고” 어른이 봉황대를 가리켰다.
“그때는 고물상들이 많이 돌아 댕깄어. 기와 조각 같은 걸 갖다주면 돈을 줬어.”. “한 10만 원씩 줬어요. 그때 돈으로도 꽤 큰 돈이었어요. 그러니 아들부터 어른까지 뭐라도 더 주우러 다녔지.” “그게 문화재인지도 몰랐어. 못 먹고 없이 살 때라 문화재 생각할 겨를이 어딨노. 그런 거 볼 줄도 몰랐다.”
어른들의 기억 속에서 경주의 과거가 조각조각 살아났다. 바람이 지나간 자리마다 기억의 편린이 되살아나 이어지는 듯했다. “뒷산 어디 가면 그릇이 그치럼(그렇게) 많이 나왔어. 고물쟁이한테 이야기하니 며칠 뒤 트럭을 끌고 와서 싹 다 파갔어. 싹 다.” 어른들은 깊은 한숨을 내쉬며 먼 곳을 바라보았다. 무겁게 가라앉은 눈빛 속에는 씁쓸한 기억이 묻어 있었다. 오래전 경주의 고분들은 보호받지 못했다. 무덤 속 유물들이 조용히 사라졌다.
봉분도 없는 서봉총을 바라본다. 켜켜이 쌓였을 수많은 시간과 그 시간 속에 사라진 것들에 대해 생각한다. 낯선 객과의 대화를 잇다 말고 어른은 한참 허공을 바라본다. 어쩌면 어른들에게 고분은 단순한 역사적 유물이 아니라, 자신의 어린 시절과 맞닿아 있는 잃어버린 공간인지도 모른다.
서봉총을 둘러보며 단순한 유적이 아닌, 그 안에 담긴 수많은 이야기와 마주했다. 신라 왕족의 찬란한 황금문화가 깃든 곳이자, 일제강점기 일본의 탐욕스러운 손길이 닿았던 곳. 문화재 약탈의 중심이 되었던 경주의 처참한 역사가 고스란히 서려 있었다.
그리고 오늘, 나는 봄날의 대릉원에서 어른들의 기억을 통해 또 다른 경주의 상처를 들었다. 뒷산 어딘가에서 사라졌을 그릇들, 기와 조각을 모아 고물상에 팔던 아이들, 그리고 서봉총 앞에서 지나간 시간을 바라보던 84세의 어른까지. 수탈의 흔적은 단순히 유물의 행방이 아니라, 사람들의 기억 속에도 깊이 새겨져 있었다.
서봉총은 단지 과거를 기념하는 장소가 아니라,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역사의 터다. 과거와 현재가 교차하는 이곳에서, 나는 묵묵히 서봉총을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