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덕·오릉·법흥왕릉 차광막·비닐하우스 난립 <br/>문화재 보호구역에 불법시설물 수년째 방치 <br/>공무원 가족 운영 시설도 포함돼 비호 의혹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둔 경주시가 신라 왕릉 주변에 불법시설물이 흉물로 방치되고 있어 시민들의 비판이 커지고 있다.
도시의 상징이자 국가 사적인 왕릉 면전에 비닐하우스와 차광막, 골재시설이 난립한 채 수년째 그대로 놓여 있는데도 행정의 손길은 닿지 않고 있다.
일부 시설은 경주시청 공무원 가족이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지며 비호와 유착 의혹까지 번지고 있다.
APEC은 세계 21개국 정상과 고위급 인사, 외신기자 등 약 6000 명이 참석하는 국제 행사다. 경주시는 이번 회의를 계기로 세계적 문화관광도시로 도약하겠다며 대대적인 도시정비에 나섰지만, 정작 문화재 핵심 구역은 뒷전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경주의 관문인 IC입구 오릉(탑동) 주변에 조경업체의 하우스와 컨테이너, 물탱크 등이 무단 설치돼 도시 관문에 흉물처럼 방치돼 있다.
해당 시설 중 1곳은 시 소속 공무원의 가족 소유인 것으로 알려지며 시의 관리감독에 대한 불신이 증폭되고 있다.
경주시민 A씨는 “불법시설물 바로 옆이 국가사적인데 수년간 그대로라는 건 공무원 가족이 운영하는 시설이라서 시가 봐주고 있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또 헌덕왕릉(동천동) 앞쪽에는 대규모 골재사업장이 장기간 운영 중이다. 차광막 하우스도 함께 들어서 있어 왕릉과 주변 경관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다. 이곳은 문화재 보호구역이자 특화경관지구로 지정돼 건축행위가 엄격히 제한된다. 그러나 단속은 없었고, 불법 상태는 지금까지도 유지되고 있다
법흥왕릉(신라 23대 왕·경주시 충효동) 주변도 예외는 아니다. 이곳 면전에는 낡은 평상과 녹슬어 방치된 헬스기구, 각종 농업용 자재들이 어지럽게 놓여 있다.
법흥왕은 불교를 국교로 공인하고 신라의 정체성을 강화한 인물로, 부처님 오신날 등은 전국 불교계 인사들의 참배도 이어지고 있으나 왕릉을 안내하는 표지석조차 작고 초라하다. 왕릉으로 향하는 길은 비좁은 농로에 불과해, 왕릉을 홀대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
문화유산 해설사 A씨는 “관광객들이 왕릉 주변을 보고 ‘이게 유적지냐’고 되묻는 일이 부끄럽다”고 꼬집었고, 건설업체 관계자 B씨도 “문화유산 관련 공사까지 따내는 사람이 왕릉 면전에 불법시설을 짓고, 시는 모른 척한다면 도대체 누가 법을 지키겠냐”고 비판했다.
경주시는 APEC을 앞두고 도로와 조명, 관광지 야경사업 등에 막대한 예산을 쏟고 있다.
그러나 정작 문화유산 경관 관리와 단속에는 손을 놓고 있어 ‘겉치레 행정’이라는 지적이 거세다.
경주시민 C씨는 “시가 보여주기식 이미지 세탁에만 급급할 뿐, 도시의 본질적 가치인 문화유산 관리에는 손을 놓고 있다”고 지적했다.
시 관계자는 “사적 제172호 오릉 및 사적 제311호 남산 주변에 건축행위를 할 경우 문화재주변 현상변경 허가기준 1구역으로 문화재청의 심의를 득해야하며, 또한 특화경관지구로 한식골기와 건축물만 건축할 수 있는 지역이다”면서 “철저한 단속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황성호기자 hs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