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선고 앞두고 지역 긴장감<br/> 시민 불안·기대 교차 복잡한 마음<br/>“어떤 결정이든 차분히 받아들여<br/> 경제회복·사회적 갈등 치유되길”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 선고 기일인 4일 대구·경북에서도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시도민들은 불안과 기대가 교차하는 복잡한 마음으로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지켜보고 있다. 지역민들은 대부분 어떠한 결정이 내려지더라도 우리사회가 차분하고 냉정하게 받아들이길 희망했다.
박지훈(25·대학생) 씨는 “당연히 기각될 것이다. 대화로 풀어야 할 정치판에서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한 것은 옳다고 할 수 없으나, 이번 탄핵 과정을 보면 수사 권한도 없는 공수처가 나서는 등 이해할 수 없는 것들이 많다”며 “헌재가 어떤 정치적 판단을 한다면 자신들도 똑같은 정치적 판결을 받게 될 것”이라고 했다.
장국진(80·상주시·농업) 씨는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은 기각이 아니라 각하돼야 마땅하다. 국가존립이나 민주주의 수호를 위해서 인용은 절대 용납할 수 없다. 전 국민이 간절히 바라는 국정 안정의 지름길은 대통령의 원상복귀 뿐”이라고 주장했다.
의성에서 자영업을 하는 임순연(74) 씨는 “대통령이 뭘 그렇게 잘못했나. 거대 야당이 그렇게 정부의 발목을 잡는 데 가만히 있으면 오히려 더 이상한 것 아닌가. 나는 대통령이 잘했다고 생각한다”며 “하루빨리 대통령이 제자리를 찾았으면 좋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반면 안병식(29·대구·회사원) 씨는 “12·3 비상계엄으로 인해 국민이 입은 정신적 피해와 경제적 손실, 정치 싸움의 끝을 목격한 이상 모두가 증인이며, 헌재는 탄핵을 무조건 인용할 것”이라며 “100일 넘게 고장 났던 시계는 다시 돌아갈 것이고, 우리는 이번에도 이겨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석동(70·문경·서예가) 씨는 “2차대전 후 소위 선진국이라는 나라에서 친위 쿠데타는 없었다. 최근 탄핵정국으로 나라 경제와 외교, 국제위상이 크게 떨어졌다. 세계 속에 한류 민주주의를 알리고 G7으로 다시 도약하기 위해서 탄핵 인용은 당연하다는 생각”이라고 주장했다.
대기업 부장 김모(55·구미시) 씨는 “비상계엄 사태 이후 경제적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아 각 기업의 경제 사정이 매우 어렵다. 대기업이 힘든 상황에서 중소기업은 오죽하겠나. 이번 사태의 잘잘못을 떠나 공장 근로자들은 탄핵 인용으로 사태가 빨리 마무리돼 경제회복과 함께 사회적 갈등도 치유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금융계의 한 인사(53·포항)는 “지역의 정치색 이전에 지금은 국가 경제가 무너질 판”이라며 “정치색, 지역색을 떠나 지역경제를 생각한다면 무조건 탄핵이 되고 새로운 정권이 들어서야만 수습될 수 있다. 탄핵이 기각된다면 혼란상황이 길어지면서 경제가 완전히 망가질까 두렵다”고 우려했다.
윤모(40·대구·자영업) 씨는 “기각·인용이 뭐가 중요하겠는가. 이미 국제적 망신은 다 당했고, 자영업자들은 다 죽어 나가고 있다”면서 “어차피 나오는 결과이면 헌재의 인용을 통해 윤 대통령도 분란을 일으킨 죄를 받아 마땅하고, 이재명도 사법 논란을 그만 일으키고 벌을 받아 새로운 인물이 나타나 대한민국을 이끌었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최모(57·대구·의료인) 씨는“과거 대통령 탄핵 선고때 보다 지금이 훨씬 더 오랜 기간이 걸렸잖느냐. 사안의 중대성을 감안할 때 신중을 기해야 하는 것은 맞지만 너무 늦게 선고가 이뤄져 국민이 정말 많이 지치고 진영갈등도 그만큼 커진 게 아니냐”고 반문했다.
김영옥(61·포항·요양보호사) 씨는 “어떤 식으로 결과가 나오든 헌법재판관 전원일치의 주문이 나오기를 바란다”며 “지금도 극심한 혼란을 겪고 있는데 헌재 판단마저 의견이 나뉜다면 앞으로 또 걷잡을 수 없는 사태를 빚지 않을까 무섭다”고 말했다.
/곽인규·류승완·고성환·피현진·김재욱기자
/김보규수습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