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 영덕 경정리 섬향나무 노거수
나는 변하지 않는 큼직한 바위를 품고, 누구보다 먼저 동해 아침 해돋이를 하는 나무이다. 거칠고 험한 바위틈에 뿌리를 내리고 손으로 바위를 움켜쥐고 살아가지만, 외롭지 않다. 새벽이 오면 나는 가슴을 활짝 펴고 동쪽 하늘을 바라본다. 저 멀리 수평선 너머에서 태양이 서서히 얼굴을 내밀면, 나의 심장은 벅차오르고 온몸이 따뜻한 기운으로 감싸인다. 밤새 바닷바람에 시린 몸을 맡겼던 나는 태양이 보내오는 부드러운 빛을 온전히 받아들이며 두 팔을 벌려 환호한다. 황금빛 햇살이 이마를 스치고, 어깨를 감싸며 온몸 구석구석을 어루만지는 태양으로부터 받은 귀한 하루의 보따리를 설레는 마음으로 푼다.
천년의 세월 바닷가 바위틈에 터 잡고
가파른 절벽·켜켜이 쌓인 바위와 살이
세찬 바람·황금빛 햇살… 자연과 마주
둥글고 길게 모여있는 삐죽한 비늘잎
뿌리 등 수분을 보호하는 생명의 구조
향긋한 향기의 방울열매는 새들 만찬
아침 태양 빛이 여기까지 1억4960만㎞의 광활한 우주를 쉼 없이 달려왔음을 생각하면 더욱 경이롭다. 초속 30만㎞로 질주한 태양의 빛이 8분 20초 만에 마침내 나의 가슴에 닿는 순간, 나는 하루의 시작을 알리는 자연의 신비를 온몸으로 실감한다. 그 빛은 단순한 아침 햇살이 아니다. 태양과 지구의 정교한 균형 속에서 탄생한 기적 같은 선물이다. 지구는 23.5도 기울어진 채로 태양 주위를 돌며 1년에 한 바퀴를 완성하고, 기울기는 계절을 만들어낸다.
봄, 여름, 가을, 겨울, 수백 년 동안 그 변화를 지켜보며 살아왔다. 또한, 지구는 하루 한 바퀴 자전하며 낮과 밤을 바꾸고, 태양을 향하는 각도에 따라 그 길이를 조율한다. 그렇게 태양과 지구는 서로 맞추어 가며 완벽한 조화를 이룬다. 태양은 아버지, 지구는 어머니, 우리는 그들로부터 태어난 생명체, 아들딸들이 아닌가. 어찌 하늘의 태양과 대지인 지구를 경외하지 않을 수 있을까.
저 먼 수평선에서 달려 온 파도는 철썩이며 나를 향해 인사를 건넨다. “오늘도 힘차게 살아가자!”며 격려라도 하듯 바위에 입 맞추고 하얀 메밀꽃을 토한다. 바람은 신선한 공기를 가득 안고 와 나를 감싸 안으며 생명의 기운을 불어넣어 준다.
나는 두 팔을 흔들며 기쁘게 화답한다. 향긋한 향기를 바람에 실어 바다로, 하늘로 보낸다. 매일 떠오르는 태양을 맞이하지만, 단 한 번도 같은 아침은 없다. 매일 새롭고 소중하다.
아침 해맞이 순간, 나는 다시금 깨닫는다. 오늘은 어제와 다르고, 내일은 또 새로운 빛으로 시작될 것임을. 그렇게 나는 어디에 찾아가지 않고 이곳에서 매일 새로운 선물을 받으며 기적을 맞이한다.
좀 더 상세하게 소개한다면, 나는 영덕군 축산면 경정리 647번지의 거대한 바위 위에 터를 잡고 천 년을 살아온 섬향나무이다. 나는 직접 받는 햇살뿐만 아니라 바다 수면에서 반짝이는 윤슬의 별빛도 함께 받아 누구보다 더 많은 축복의 빛을 받는다. 이러한 강한 햇살은 바닷가 바위 위에서 살아가는 나에게 광합성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과도한 증발로 스트레스도 받는다. 그러나 잎과 뿌리가 수분 손실을 줄일 수 있는 구조로 특화되어 있어 그런 걱정은 붙잡아 매라 한다.
비늘잎이 둥글고 길게 모여 삐죽한 형태를 이루는 것은 수분 손실을 줄이기 위한 생존 전략이다.
또한, 열매가 하얀 왁스로 덮여 있는 것도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육질 방울열매는 새들이 좋아하는 먹이다. 특히 3월이면 직박구리 소리로 아침은 활기차게 시작된다. 야생 먹이자원이 달리는 잔인한 봄, 3월에는 활기찬 새들의 장마당이 선다. 시끌벅적한 아침이다.
내가 스스로 살아가는 자생지랄까 생존 지역은 동해를 내려다보는 절벽으로 쉬이 다가갈 수 없이 가파르며, 바위가 켜켜이 쌓인 곳이다. 그런 절벽 바위를 은밀하다고 표현한다. 이른바 숨은 서식처로 비밀스러운 피난처, 미소 피난처이다. 최고령 나무로 울릉도 도동의 향나무는 2500~3000년을 살아왔다고 한다. 나의 동료 향나무는 극한의 환경에서 자라며, 자연이 빚어낸 듬성듬성 그루 숲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는 한국의 오래된 매향(埋香) 문화와도 연결된다. 매향 문화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 걸쳐 향나무를 바닷가에 묻어 후손들이 다시 발굴해 사용하도록 기원하는 독특한 종교적·민속적 풍습이다.
이러한 매향 문화는 불교 신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금강산 삼일포 매향 비문은 “강릉, 삼척 등에 향나무를 베어 포구마다 물속에 묻었다”라는 사실을 전하고 있다. 동해안 깎아지른 절벽의 향나무 해안 경관은 세계 자연유산이고, 매향은 자랑스러운 인류 문화유산이 아니겠는가? 동해안 향나무 자생지는 한국인의 뿌리와도 맞닿아 있다. 동해안을 따라 남하한 북방 선사인이나 남해안을 거쳐 동해안을 따라 북상한 남방 선사인은 우리 조상을 분명히 만났을 것이다. 향기 나는 우리를 알아채지 못했을 리 만무하다. 적어도 동해안 신석기인은 향나무 풍광을 무대로 살았다는 사실을 옛 해안(古海岸)에 위치하는 울산 반구대암각화와 천전리각석의 가장 오래된 선사 기록이 말해주고 있지 않은가.
이곳은 도시의 빌딩 숲에서 겨우 몇 조각의 햇빛을 구걸하는 나무와는 다른 세상이다. 푸른 창해와 창공을 바라보면서 해변에서 아침 햇살을 맞이하는 나는 참으로 행복한 나무임을 깨닫는다.
봄의 바닷가 아침 햇살은 부드럽고 따뜻하다. 해안의 파도 소리와 신선한 아침 공기는 나를 편안하고 행복하게 감싸준다. 저 멀리 수평선에서 떠오르는 태양의 찬란한 빛이 바다를 가르고 해안으로 한 줄기 뻗친다. 윤슬이 반짝인다. 항구 어민들의 고깃배가 만선의 희망과 기쁨으로 출항과 귀항을 서두르고 갈매기가 호위하고 있다.
바다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기암괴석에 붙어 살아가는 따개비의 안간힘과는 달리 미역은 너울너울 춤을 추고 있다. 그 신비로움에 두 손을 모아 경건한 마음으로 감사의 기도를 드린다. 마음 깊숙한 곳에서 잠자던 세포가 깨어나고, 기쁨으로 가슴이 벅차오른다. 큰 대가를 치르지 않고도, 누군가의 도움이나 방해도 없이 축복의 선물, 태양 빛을 오롯이 맞이할 수 있다는 사실이 더욱 감동적으로 다가온다. 아침 해돋이는 희망이고 또 하루의 출발선이다. 하나 아쉬운 점은 훼손된 몸과 살아가는 바위 주변에 널브러져 있는 어망 쓰레기를 보고 눈살을 찌푸리고 있음이다.
매향(埋香) 문화
매향 문화는 고려와 조선시대에 걸쳐 한국에서 행해졌던 독특한 종교적·민속적 풍습으로, 향나무(沈香木)를 땅에 묻어 후손들이 다시 발굴하여 사용하도록 기원하는 의식이다. 이 풍습은 불교적 신앙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주로 바닷가에서 진행되었다. 매향(埋香)이란 ‘향나무를 묻는다’는 뜻으로, 주로 신앙적인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특정한 장소(주로 해안가)에서 불교 승려와 신도들이 모여 매향 의식을 거행했다. 향나무를 정성스럽게 땅속에 묻고, 불경을 외우며 신성한 의미를 부여했다. 매향문(埋香文)이라는 비석이나 기록을 남겨 후대에 알릴 수 있도록 했다.
현재 한국에는 여러 곳에서 매향과 관련된 유적이 발견되었다. 강원도 양양은 고려시대 매향비가 발견되었다. 경기도 화성은 매향 의식이 이루어졌음을 기록한 유물이 있다.
오늘날 매향 문화는 단순한 민속 신앙이 아니라, 향나무와 관련된 전통적인 의례로서 중요한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지닌다.
/글·사진=장은재 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