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30·40대의원 집단 보이콧<br/> 여 “연금특위에 3040 전면배치”
이른바 ‘더 내고 더 받는’ 국민연금 개혁안이 18년 만에 국회를 통과한 가운데, 청년세대들이 거세게 반발하는 등 후폭풍이 일고 있다.
개혁안 통과 직후 여야 30·40세대 의원들은 집단 보이콧을 선언하며 반발했으며, 지난 24일 주요 대학 총학생회는 ‘국민연금 공동행동’을 발족하는 등 개혁안이 세대 간 갈등으로 확산하고 있다.
국민·기초·퇴직·개인연금 등 다양한 연금의 구조개혁을 논의할 연금개혁특위는 국민의힘 6명, 더불어민주당 6명, 비교섭단체 1명 등 총 13명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여당 간사인 김미애 의원은 “21대 국회 연금특위처럼 청년의 목소리가 사실상 배제된 인적 구성은 지양돼야 한다”며 “양당 모두 기존 틀에서 벗어나 특위 위원을 포함한 모든 위원회 구성에서 20·30세대가 최소한 과반을 차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국민의힘은 25일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에서 청년과 미래 세대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해 당내 연금특위에 30·40대 의원들을 전면 배치하기로 했다.
박형수 원내수석부대표는 “지난 주말 기자회견에서 여야의 30·40세대 국회의원들은 연금개혁 논의 과정에 30·40세대 의원이 절반 이상 참여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청했다”며 “국민의힘은 이를 적극 수용해 연금특위 구성 시 30·40세대 의원들을 전면 배치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민주당도 이에 적극적으로 호응하고, 민주당 내 30·40세대 의원들이 연금특위에 최대한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협조해주기를 바란다”며 “향후 연금특위에서 30·40세대 의원들이 청년 세대들의 불안과 우려를 불식시킬 합리적인 방안을 도출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역할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장은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