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가 올해 처음 직선제 방식으로 3월 5일 치러지지만 기존 이사장들의 영향력이 워낙 강한데다, 대통령 탄핵 정국에 묻혀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그동안 대의원 간선제로 치러졌던 이사장 선거는 새마을금고법 개정과 함께 올해부터는 조합원이 직접 뽑도록 하고, 선거의 운영과 감독도 선거관리위원회에서 맡도록 했다. 다만 직선제는 평균 자산 2000억원 이상인 새마을금고에 한해 의무화하고, 그 이하 소규모 금고는 직선제와 간선제 중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했다. 대구의 경우 86개 금고 중 직선제가 치러지는 데는 41곳, 경북은 104개 금고 중 직선제가 치러지는 데는 20곳이다.
문제는 직선제 도입에도, 선거에 대한 조합원들의 관심이 지극히 저조하다는 것이다. 선관위에서 예비후보 등록을 받고 있지만, 지난 12일 현재 대구지역 예비후보는 27명에 불과하고, 경북도내 8개 시·군은 예비후보가 단 한 명도 없다. 이유는 출마조건이 까다로운데 있다. 이사장 선거에 나오려면 새마을금고에서 4년 이상 일하거나 다른 금융 관련 기관에서 10년 이상 근무해야 한다. 금고에 따라서는 이사 등 별도의 추가 자격 조건도 있다. 상당수 금고는 현 이사장에 유리한 조건을 달아 놓았다. 이러니 ‘이사장이 3선연임으로 출마하지 못하는 금고만 후보들이 나선다’는 말이 나올 수밖에 없다.
새마을금고는 그동안 이사장 선거 때마다 금품수수 의혹 등 다양한 비리로 얼룩졌다. 서민금융인데도 이사장 연봉이 1억여원에 이르고, 세 번 연임(임기 4년)이 가능하다. 당연히 기존 이사장들이 연임 욕심을 낼 수밖에 없다. 이번 ‘제1회 전국 동시선거’는 조합원들이 직접 선거를 하고, 선거감독도 선관위에서 하는 만큼 깨끗하고 공정하게 치러져야 한다. 비리없는 선거가 되려면 선관위 힘만으로는 어렵다. 금고 조합원들이 적극적으로 선거에 참여해 감시자 역할을 해야 한다. 그리고 선거공보를 통해 후보자의 정책·공약을 꼼꼼히 따져보고 투표를 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