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기 개학 때마다 들리는 우울한 뉴스지만, 올해도 전국에서 신입생이 없어 입학식을 치르지 못하는 초등학교가 185곳인데 이 중 42개교가 경북에 있다고 한다. 대도시인 대구에서도 신입생이 없는 초등학교가 있다. 대구·경북 지역의 인구감소 수준이 위기상황이라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현상이다.
경북교육청 집계에 따르면, 올해는 도내 초등학교 42개교, 중학교 3개교 등 모두 45개 학교가 신입생이 없다.
지난해에는 30곳이었지만, 올해 15곳이나 늘었다. 안동과 영천, 의성에 각 5곳, 포항·상주·성주에 각 4곳, 김천·문경 각 3곳, 청도·고령· 울진 각 2곳, 예천·봉화 각 1곳이다. 중학교는 포항·영천·청송 각 1곳이다. 그나마 군 단위에선 면마다 1곳씩 남아있던 초등학교도 점차 없어져 가는 추세라서 충격적이다. 학생이 없어 문을 닫는 학교가 늘어나는 것은 어제오늘 일은 아니지만, 속수무책이란 것이 안타깝다.
경북도내에서 신입생을 받지 못해 폐교한 학교는 2021년부터 2023년까지는 2~3곳이었다가, 지난해는 6개교로 대폭 늘어났다.
전국적인 출생아 수를 고려하면 앞으로의 상황은 더 비관적이다. 내년에 초등학교에 입학할 출생아 수는 2019년 30만3000명이지만, 2020년에는 27만2000명, 2021년에는 26만1000명, 2022년에는 24만9000명으로 해마다 1~2만명씩 줄어들고 있다. 앞으로 이 아이들이 초등학교에 갈 나이가 되면, 전국 초등학교의 절반이 신입생 10명 미만이 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비수도권 농어촌 지역에서 아이들이 사라지는 문제는 지방정부나 교육당국 차원에서 손을 쓸 수 있는 차원을 넘어섰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교육격차 해소와 저출생 문제 해법 없이는 모든 대책이 임시처방에 불과하다. 가장 효과적이 대책은 청년들이 농어촌에 살면서 아이를 낳아 키우는데 아무런 불편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황당한 소리로 들릴지 모르겠지만, 농어촌 공교육을 대도시 사교육시장 못지않게 수준을 높이면 가능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