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북도민 역외 진료비 전국 최고, 대책은 없나

등록일 2025-02-10 19:17 게재일 2025-02-11 19면
스크랩버튼

정부의 지방의료 육성 정책에도 지방환자의 수도권 쏠림 현상은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의하면 지난해 기준으로 지방에 거주하는 중증·암환자들의 서울 소재 의료기관 이용이 연간 11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폐암, 간암, 위암 등 주요 암의 경우 지방거주 환자의 40% 이상이 서울 소재 상급종합병원에서 치료받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한다. 이는 5년 전보다 15%가 늘어난 수치라고 하니 정부의 지방의료기관 육성책 발표와 별개로 지방의 환자들은 여전히 수도권으로 몰리고 있는 것이다.

정부는 지난해도 지역 의료체계의 완결성을 높이기 위해 지역거점병원과 국립대병원을 서울의 빅5 수준으로 육성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권역별로 3년간 최대 500억원 지원하고 지역인재 의대 전형비율을 현재 40%에서 대폭 확대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의정갈등이 1년 이상 끌고 있는 탓도 있으나 지방의 환자들은 피부로 느낄만큼 지방의 의료수준이 달라졌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특히 중소도시와 농촌지역이 많은 경북은 외지 진료 비중이 더 심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경북지역 주민이 치료를 위해 1년간(2023년) 타지에서 지출한 의료비가 무려 2조4380억원이다. 경북은 대구, 부산, 경남, 울산 등 경상권 권역에서 타지 의료기관 지급 진료비 비중이 36.5%로 가장 높다.

시군별로 보면 도서 지역인 울릉군이 86.6%로 가장 높았고, 영양군과 청송군이 80%를 상회했다.

정부가 밝힌 지역거점병원 육성이 시급히 이뤄지지 않는 한 환자의 수도권 쏠림은 당분간 해소되기 어렵다. 문제는 환자의 수도권 쏠림과 동시에 지역자본의 역외유출도 심화된다는 사실이다. 환자의 역외 쏠림이 지역경제 활성화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노령화가 되는 미래에는 더 심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지역소재 의료기관의 경쟁력 강화와 지역거점병원 육성 정책이 서둘러 마련돼야 하는 이유다. 경북의 경우 포스텍의 연구중심 의대 설립과 국립안동대 의과대 신설 등이 이런 문제를 해소하는 한축이 될 수 있는 것이다.

Essay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