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가 대구 군부대 이전 후보지로 대구 군위군과 경북 영천시, 상주시로 압축해 군부대 이전을 둘러싼 유치가 3파전으로 전개 될 전망이다.
대구시는 앞으로 3개 지역을 평가해 오는 3월 최종 후보지 한 곳을 결정할 방침이라 밝혔다. 대구 군부대 이전 사업은 대구시의 도시팽창으로 재개발 사업에 걸림돌이 된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수년 전부터 논의의 대상이 됐다. 이에 따라 2023년 12월 대구시와 국방부가 민·군 상생협력 방안이 담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후 1년여 만에 이전 예비후보지 3곳이 선정된 것이다.
국방부는 군부대 임무수행 여건, 군인가족의 정주여건 개선, 지역경제 활성화 등을 주요 평가항목으로 보고 선정했다고 밝혔다. 또 앞으로 최종 후보지는 사업성과 수용성을 평가해 결정할 예정이라고 했다.
대구시는 군부대가 이전되면 도심 공간 개발로 미래 50년 발전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고, 군부대 이전에 따라 인구증가와 상권 활성화 등 지역발전의 좋은 전기가 될 것이란 판단을 한다. 군의 입장에서도 정예 강군 육성과 미래 선진병영 환경조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유치 희망도시들도 지역소멸을 극복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당초 기피시설이라 참여도시가 부족할 것이란 예상을 뒤덮고 5개 지역이 신청을 한 바 있다. 밀리터리타운이 조성되면 여기에는 장교관사와 간부들의 숙소가 들어서고 젊은층의 유입으로 다양한 연관산업도 생겨날 것이 예상된다. 군부대 이전 사업이 도시 간 상생발전과 우리의 국방력 강화에도 기여한다면 사업 효과를 높일 방향으로 잘 만들어가야 한다.
다만 지나친 유치 경쟁으로 탈락도시의 반발도 예상할 수 있다. 대구시와 국방부는 공정하고 투명한 심사 과정을 실시해 후유증을 최소화 하는 것도 신경을 써야 한다.
대구와 경북은 신공항 건설과 군부대 이전 사업, 장차는 미군부대 이전을 포함해 대규모 도시개조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는 대구경북의 백년대계를 위한 사업으로 귀착된다. 어느 하나 소홀히 할 수 없는 사업인 만큼 치밀하고 지혜로운 판단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