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울릉도공항 이탈방지시스템 설치 가능성…이탈방지시스템‘이마스’ 국내최초

김두한 기자
등록일 2025-01-19 12:03 게재일 2025-01-19
스크랩버튼
울릉도 가두봉을 절개하는 모습. /자료사진
울릉도 가두봉을 절개하는 모습. /자료사진

울릉도에 현재 건설 중이 소형공항인 울릉공항(활주로 1200m)에 이탈방지시스템(이마스·EMAS)이 설치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울릉도 공항에 이마스가 설치되면 국내 최초 사례다. 이마스는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를 계기로 항공기의 활주로 이탈에 따른 대형 참사를 막기 위한 장치로 주목을 받은 공항시설이다. 

울릉도 공항 완공 조감도. / 자료사진
울릉도 공항 완공 조감도. / 자료사진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등에 따르면 울릉공항에 이마스 설치를 반영한 설계변경이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교통부는 항공기 기종, 활주로 규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이마스 설치를 긍정적으로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국토교통위원회 관계자는 “국토교통부와 부산지방항공청으로부터 울릉공항 안전시설 관련 자료를 확인한 결과, 지난해 5월 조건부 승인을 받아 길이 45m 폭 72m로 설계된 울릉공항 종단안전구역(RESA)에 40m 길이의 이마스를 설치하는 방향으로 설계 변경을 진행 중이라는 답변을 받았다”고 밝혔다.

활주로를 만들기 위해 매립하려면 먼저 케이슨을 설치 물을 막아야한다. 케이슨거치 30함 중 24함이 거치된 모습. /자료사진
활주로를 만들기 위해 매립하려면 먼저 케이슨을 설치 물을 막아야한다. 케이슨거치 30함 중 24함이 거치된 모습. /자료사진

이렇게 설계변경이 이뤄지면  ‘공항 비행장시설 및 이착륙장 설치기준’의 최소 기준을 충족하게 된다. 이마스는 외국의 주요 공항에 설치돼 있지만, 국내 운영 중인 15개 공항에는 설치돼 있지 않다.

이마스는 활주로 길이가 짧거나 확장할 공간이 없는 공항에는 유용한 항공기 안전장치로 울릉공항과 흑산공항 등 도서지역에 건설되는 소형공항에 설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높았다.

케이슨이 거치되는 모습. /자료사진
케이슨이 거치되는 모습. /자료사진

울릉공항과 함께 흑산공항, 백령도 공항 등 도서지방에 건설되는 활주로길이가 1200m이하에는 이미 이마스 설치 사업비를 반영해 설계되고 있는 것이 일부 언론에 보도되고 있다.

한편, 울릉공항은 2027년 준공을 목표로 올해까지 케이슨 거치 및 상부 시멘트타설 공사를 완료, 가두봉 절취와 해상매립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공정률을 70%까지 달성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공정률은 59.21%다.

/김두한기자kimdh@kbmaeil.com

동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