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장량·두호동 일대 10만 인구 후광 업고 한 때 전성기 누렸죠”

한상갑 기자
등록일 2025-01-16 18:26 게재일 2025-01-17 14면
스크랩버튼
[포항의 전통시장을 가다] 장량성도시장
포항시 북구에 위치한 장량성도시장은 장량동, 두호동의 10만 인구를 배경으로 한 때 최적의 상권을 자랑했다. 북구의 잘나가던 전통시장으로 이름을 떨쳤지만 코로나19 사태 이후 매출이 감소해 상인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축복받은 시장’, ‘혜택 받은 상권’.

포항시 북구 장량동 장량성도시장 주변을 답사하며 들었던 첫 번째 생각이었다. 아파트에 ‘포위’된 상권, 10만 이상 유동 인구, 독점 상권에 영일대해수욕장까지 끼고 있는 곳.

외관상 장량성도시장은 천혜의 상권과 최적 상업조건을 두루 갖추고 있었다. 한 때는 공실률 제로에 점포마다 몇천만원 씩 프리미엄이 붙던 시절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막상 시장에서 만난 상인들의 표정은 밝지 않았다. 뛰어난 상권에 비해 현실에서 영업 실적은 저조해 점포들의 수익성이 높지 않았던 것이다.

가장 큰 이유는 뭐니 뭐니 해도 코로나 사태의 ‘그늘’ 탓 이었다. 팬데믹 이후 인터넷, 온라인 마케팅에 길들여진 사람들이 오프라인 시장으로 돌아오지 않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현상은 이곳 뿐만은 아니고 대부분 전통시장에서 함께 느끼고 공유하는 고민들이다. 도심 아파트촌의 한복판에서 침체한 재래시장 상권을 회복하기 위해 힘쓰고 있는 장량성도시장을 돌아보았다.

장량·성도종합상가 통합 전통시장으로

아파트촌 한복판에 위치한 최적의 상권

점포 가치 ‘쑥’·공실률 ‘제로’·노점도 활기

코로나 이후 손님 발길 뚝… 매출 반토막

상인들 위기 극복 공영주차장 확보 노력

소비자 맞춤 시장으로, 옛 명성 부활 기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상업, 해운도시 기능

우선 시장의 배경이 되는 두호동, 장량동의 역사에 대해 알아보자. 먼저 두호동 일대는 고려 말부터 조선시대 초기에 이르기까지 동해안의 왜군 방어 진지로 기능했다. 각종 사료에 1386년 고려 우왕 때부터 동해안 왜구 방어의 최전방 기지로 기능했다는 기록이 전한다.

두호동의 중심이 되는 창포리는 1731년 영조 때 포항창(浦項倉)을 설치했던 곳이다.

두호동은 전통시대 ‘두무치마을’로 불렸다. 마을 중심엔 마을의 제당인 천황당이 있었는데 1980년대 물의공원 고갯길 우측에 있던 선황당(仙皇堂)과 합사해, 매년 같은 날 제를 올리고 있다고 한다.

두호동 북쪽 이진리(利津里)에는 ‘이진당’(利津堂)이라는 전당(殿堂)이 있는데, 조선시대 외국 상인들이 귀국길에 이곳에서 제사를 지내고 돌아가야만 뱃길이 편안하고 무사하다 하여 배를 정박시켜 놓고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장량성도시장 상권의 가장 큰 배경을 형성하고 있는 장량동은 원래 장성동과 양덕동이 합쳐진 곳이다. 이 일대는 본래 산간지역으로 사량골, 불미골, 기낭골, 북시골, 무당골 등 자연 부락으로 이뤄져 있었다.

개발 붐이 일던 1990년 지역 주민들이 지역 주택 조합을 결정해 기남골, 갈밭리 일대 34만 평 규모에 아파트, 택지, 상가 단지를 조성했다. 장량동 현재 인구는 7만2000명으로 웬만한 기초자치단체 보다 규모가 크다.

시장 반찬가게 모습.
시장 반찬가게 모습.

◆두 곳 복합상가 건물 통합해 전통시장으로

장량성도시장은 시장 탄생 배경에 재미있는 스토리텔링을 지니고 있다. 1990년대 장량동, 두호동 일대에 대단지 아파트촌이 건립되면서 두개 동(洞) 경계에 복합 상가들이 들어섰다.

이 중 하나가 ‘장량종합상가’이고 또 하나는 ‘성도종합상가’였다. 대로변에 나란히 들어섰던 두 상가는 상가 형태로는 영업에 한계를 느끼고 ‘전통시장’으로 전환을 모색하게 된다.

두 상가의 점포주와 상인들은 개축, 설계, 리모델링을 위한 협의를 시작하고 그 결과로 오늘의 장량성도시장이 탄생했다. 남북으로 나란히 들어섰던 두 상가는 상인들의 협의를 거쳐 끝 쪽벽을 서로 허물고 사방으로 통로를 만드는 대공사를 벌이게 된다.

건물주들이 대폭 양보를 했고, 경북도와 포항시가 설계비와 공사비를 지원했다. 상가건물이 전통시장으로 개축되는 과정은 여러 건축주 이해, 행정절차, 상권, 권리관계 등 이익들이 복잡하게 얽힌 일이었지만 여러 관계인들과 자체단체들이 나서 잘 마무리 지으면서 대변신을 마무리할 수 있었다.

아랫장터 모습.
아랫장터 모습.

◆두 상가 벽이 뚫리면서 유동인구 급증

25년 동안 막혀 있던 두 상가의 벽이 뚫리면서 시장에는 활기가 돌았다.

당시 공사는 상가의 벽만 뚫은 게 아니고 막혀 있던 상권과 물자의 이동도 뚫었던 것이다.

복합상가 시절 주민들은 막히고, 단절되고, 구획된 상가에서 불편하게 제한적으로 쇼핑을 해왔지만, 두 상가가 한 통로로 연결되면서 주민들은 하나의 동선(動線)에서 논스톱으로 쇼핑을 할 수 있게 됐다. 점포 아이템이 중복되거나 또는 일관성이 없이 얽혀 있어서 두 건물을 드나들며 번거롭게 장을 봐야 했던 시민들의 불편이 해결된 것이다.

쇼핑공간이 한 흐름으로 이어지고, 시장의 사방에 진입로가 뚫리면서 시장의 유동인구가 급증했다.

이원식 상인회장은 “상가 두 곳이 합쳐지면 계산 상으로는 ‘1+1’이 됐지만, 그 시너지 효과는 매우 컸다”며 “시장 전체에 활기가 들면서 매출이 최소 30~40%에서 목이 좋은 곳은 두 배씩 뛰었다”고 말했다.

시장 전체 영업이 활성화 되고 점포 가치가 올라가면서 가게 프리미엄이 붙기 시작했다.

더불어 도로변에 노점도 활기를 띠었다. 건너편 아파트 입구부터 시장 내리막길 100m 구간엔 노점 10여 곳이 진을 쳐 보행을 방해할 정도로 성황을 이뤘다.

시장 내부 모습.
시장 내부 모습.

◆코로나 사태 이후 전통시장 상권 급속히 위축

시장엔 손님들이 줄을 서고, 노점이 도로변에 진을 치고 점포에 웃돈이 붙어 거래되던 반짝 경기는 2~3년 ‘특수’로 그치고 말았다.

바로 코로나19 사태가 찾아온 것이다. 코로나19 사태가 전 세계 문명사에 미친 영향은 ‘세기적 사건’으로 분류되지만, 이곳 장량성도시장에서도 그 충격은 큰 파장으로 다가왔다.

모든 점포의 매출이 반토막 아니 그 이상으로 급감했다. 어제까지 줄이 섰던 점포에 발길이 멈추었고, 시장 통로에도 인적이 끊겼다.

두 상가 통합-전통시장 변신 이후 번창을 누리던 중이어서 상인들의 박탈감은 더 컸다.

상인들은 우울감 속에서 이 ‘대역병’이 빨리 지나가기를 바랐다.

드디어 기다리던 팬데믹의 종료가 공식화되면서 상인들은 다시 기대에 부풀었다. 그러나 잠시 시장을 떠났던 시민들의 발걸음은 다시 돌아오지 않았다. 비대면, 마케팅, 온라인, 홈쇼핑에 길들여진 주민들이 그 소비 패턴을 계속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극도의 편리성이 강조된 새로운 쇼핑, 구매 방식에 적응된 소비자들에게 시장은 불편한 공간이었을 뿐이었다.

이원식 상인회장은 시장 상권의 부활을 위한 선결과제로 공영주차장 확보를 꼽았다. 쇼핑 편의성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의 성향 충족을 위해서는 주차장 건설이 시급하다는 것. 문제는 주변에 마땅한 유휴 공간이 없다는 점. 이 회장은 경북도나 포항시 등 관계기관의 정책적 접근을 통한 실효적 해결을 기대하고 있다.

◆온라인 쇼핑 문화의 확산과 전통시장 위기

앞서 언급한 대로 장량동, 두호동 일대는 고려 말 군사기지, 조선시대 조창(漕倉), 일제강점기 소 수출기지까지 각종 관청이 들어서며 상업, 해운 등 산업이 활발하게 펼쳐지던 공간이었다. 이 상업적 전통을 이어받은 장량동, 두호동 일대는 아파트 단지 20여 곳 학교 11곳, 공공 기관 11곳을 거느리며 포항시 북구의 상업, 행정, 도시로 성장해왔다. 이런 전통과 한때 번영이 있었기에 현재 장량성도시장의 급속한 위축은 안타깝기만 하다.

온라인 시장에 길들여진 시민들을 어떻게 재래시장으로 불러낼 것인가, 대형마트 편리성에 익숙해진 주민들 어떻게 전통시장으로 향하게 할 것인가.

전통시장 상인들과 오프라인 소상공인들이 풀어야 할 시대적 화두가 아닌가 한다.

/글·사진 = 한상갑기자 arira6@kbmaeil.com

포항의 전통시장을 가다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