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중심의 역사에서 만주와 연해주로 역사의 지평을 넓힌 발해 시대 울릉도와 독도를 활용했음을 실증적 증명하고자 탐사에 나섰다가 대원전원이 숨진 발해1300호가 울릉도(독도) 1월의 해양유산으로 선정됐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울릉도독도해양연구기지(대장 김윤배)는 울릉도와 독도의 해양유산 홍보를 통해 울릉도와 부속 섬 독도의 섬 가치와 해양문화의 가치를 알리고자 매월 이달의 울릉도(독도) 해양유산을 선정해 발표한다.
1월의 울릉도(독도) 해양유산으로 선정된 발해1300호는 한반도 중심의 역사에서 만주와 연해주로 지평을 넓힌 발해시대 일본 간의 해상항로 과정에서 울릉도와 독도를 활용했음을 실증적으로 증명하고자 동해를 건넌 특별한 인물들이다.
1997년 발해 건국 1300주년을 맞아 발해와 일본 간의 동해 해상 항로 복원을 위해 발해탐사대로 발해1300호가 건조됐다.
탐사대는 직접 제작한 뗏목 발해1300호로 바람과 해류에 의존한 항해를 통해 발해시대 동해 해상항로를 실증적으로 복원하고자 했다.
가을, 겨울철 북서 계절풍을 이용, 동해를 건넌 발해인들의 항해를 재현하고자 4명의 탐사대원들이 승선한 발해1300호는 몇 차례 연기를 거쳐 1997년 12월 31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항을 출항했다.
항해 24일 동안 바람과 해류를 따라 울릉도 주변, 울진 외해 등을 거쳐 일본 오키섬 연안에 도착했다. 그러나 1998년 1월 23일 오키섬 접안 과정에서 섬 주변의 암반과 거센 풍랑에 뗏목이 전복돼 대원 4명이 전원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다.
발해1300호 대원은 장철수(대장), 이덕영(선장), 이용호(촬영), 임현규(통신)이다. 발해1300호는 초기 러시아 극동대와 공동탐사를 계획했지만 여러 사정으로 한국 단독으로 추진됐다.
탐사대원은 한국외국어대 독도연구회를 결성했고 21세기 바다연구소장을 역임한 장철수 대장(통영 출생), 울릉도 주민이면서 푸른독도가꾸기모임 초대회장을 역임한 이덕영 선장, 대학에서 미술을 전공한 이용호 대원(창원), 한국해양대 재학생이었던 임현규 대원(구례)으로 구성됐다.
한반도 중심의 역사에서 만주와 연해주로 역사의 지평을 넓힌 발해는 일본에 공식사절만 34차례 파견하면서 활발한 정치 문화교류를 했다.
발해탐사대원들은 왜 찬 겨울철 동해를 건넜는가. 발해인들은 북서풍의 바람을 이용하고자 주로 10~2월 사이에 동해를 건넜고 6~7월에 남동풍을 이용해 다시 발해로 귀환했다. 이에 따라 탐사대는 바람과 해류를 이용한 발해인들의 동해 해상항로를 실증적으로 복원하고자 뗏목항해를 선택했다. 초기 10월에 계획했지만, 여러 사정으로 12월 말에 출항하게 됐다.
독도 지킴이었던 장철수 대장과 울릉주민 이덕영 선장. 장철수 대장과 이덕영 선장은 1980~90년대 독도운동의 중심에 섰던 인물이었다. 장철수 대장은 1987년 한국외국어대 독도연구회 창립과 함께 독도탐사 및 독도홍보전 등을 주도했다.
독도에 나무가 자라야 섬 지위를 받을 수 있다는 국제법에 따라 울릉도 청년들이 푸른독도가기모임을 만들고 이덕영 선장이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푸른 독도가꾸기운동과 함께 울릉도 토종 야생화 보전 운동에 앞장선 인물이다.
노래 홀로아리랑 작사의 숨은 주인공, 장철수 대장과 이덕영 선장. 장철수 대장과 이덕영 선장은 한 돌의 ‘홀로아리랑’ 제작의 배경이 됐던 1988년 울릉도~독도 뗏목탐사의 주인공들이었다.
한 돌 씨는 이 탐사가 계기가 돼 1989년 홀로아리랑 노래를 발표했다. 특히, ‘저멀리 동해바다 외로운 섬’이라는 구절은 한 돌씨가 울릉도 북면 석포리의 이덕영 선장 집에서 독도를 보고 영감을 얻은 가사로 울릉도 석포는 죽도를 배경으로 독도를 볼 수 있는 최고의 명소다.
러시아 극동대학은 발해1300호에 대장에게 명예박사학위 수여했다. 발해1300호는 초기 러시아 극동대학교와 공동 탐사대를 꾸릴 예정이었지만 여러 사정으로 탐사에 합류는 못했다.
이에 러시아 극동대학교는 장철수 탐험대장에게 명예 해양학 박사 학위 수여와 함께 학교 내에 발해1300호 전시관을 설치, 발해1300호 탐사 의미를 조명하고 있다.
러시아와 울릉도(독도)의 인연은 1896년 아관파천을 계기로 러시아가 울릉도 산림채벌권을 획득했다. 영화배우 율브린너의 조부가 울릉도의 산림채벌권을 획득했다는 숨겨진 이야기도 있다.
실제 러시아의 울릉도 산림채벌은 진행되지 못했지만, 일본의 울릉도 불법 산림 채벌을 러시아가 강력히 항의했고 이러한 결과로 대한제국은 1900년 10월 25일 칙령 41호를 반포하게 된다.
이날이 울릉군으로 승격되고 독도를 부속 섬으로 둔다는 칙령에 따라 울릉군이 독도의 날로 정했다. 1905년 러일전쟁 중 울릉도 저동항 앞바다에 침몰한 러시아의 드미트리 돈스코이호는 아관파천 전후로 제물포항에 드나들며 신식 군사기술을 전수한 선박이기도 했다.
발해1300호 기념사업회는 1998년 1월 사고 이후 매년 추모행사 및 기념사업을 진행 중에 있다.
김윤배 대장은 “앞으로 발해1300호 기념사업 관련, 울릉도에 발해1300호와 러시아 교류사를 담은 홍보전시관 설립 필요성이 있다”며“발해1300호 대원 지역별(울릉, 통영, 구례 등) 기념 사업이 진행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김두한기자kimd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