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항 운주산 안국사, 신라 불교 전래의 ‘열쇠’

등록일 2024-12-09 19:04 게재일 2024-12-10 11면
스크랩버튼
안국사지에서 바라본 기북면 전경.  /오상기씨 제공
안국사지에서 바라본 기북면 전경. /오상기씨 제공

포항시 북구 기계면에 소재한 운주산에 신라에서 불교가 공인되기 이전 시기에 창건된 대규모 옛 절터가 있었다는 문헌 기록과 함께 그 절터에서 여러 시기로 추정되는 토기편들이 발견되어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기계면 남계리 운주산 북쪽 중간 ‘절골’이라는 산중턱에 소지마립간대(479년) 에 이미 왕의 국사가 수도하던 사찰이 있었다는 것이다. 소지마립간대는 신라에 불교가 공인된 법흥왕대(528년) 이전 시대라는 점과 각종 사료를 통해 안국사가 신라 왕실에 불교 전파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상존하면서  이곳이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

 특히 당시 왕이 직접 두 번이나 행차하였고, 왕이 직접 그 절의 이름을 ‘운주산 안국사’라고 지어주었다는 내용이 담긴 문헌 기록 ‘신라운주산안국사사적’이 1989년에 발견되면서 더욱 안국사 절터에 대한 시선이 쏠린다.

 ‘신라운주산안국사사적’은 1757년(영조 33) 운주산 안국사 승려가 태백산 각화사 사고 중에 남아있던 안국사 관련 사적을 다시 정리하여 목판본으로 제작됐으며,  현재 목판본은 동국대학교 도서관에 소장 중이다.  1989년 동국대 신라문화연구소 ‘신라문화 제6집’에 안국사 관련 전문 및 간략 해제문이 실려있고, 신라운주산안국사사적의 원문 번역은 ‘기계기북향토지’ 109∼123페이지에도 게재됐다.

 기계면 남계리 ‘운주산 안국사’는 조선 영조 때 목판본으로 제작된 ‘신라운주산안국사사적’을 비롯하여 포항시에서 발행한 시사, 군사 그리고 옥산서원 사제문 일기, 동경 잡기 등 문헌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기록들을 바탕으로 2024년 상반기에 포항시 향토문화유산 지정 신청에 따른 현장조사에서 신라토기가 발견되었고 그에 따라 포항시 향토문화유산 제2024-1호로 지정되었다.

안국사지에서 출토된 토기편을 들어보이고 있다.  /오상기씨 제공
안국사지에서 출토된 토기편을 들어보이고 있다. /오상기씨 제공

  지난 4월 포항시가 향토문화유산 지정에 따른 현장조사를 실시한 결과, 신라토기로 추정되는 조각편들과 승탑군, 와편, 석물들이 발견되어 향토사학자들을 들뜨게 만들기도 했다. 사학계는 이러한 유적 발견이 삼국유사의 사금갑 설화와 연관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신라 초기 불교의 전래 과정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이들은 당국의 발굴조사를 통한 체계적인 학술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신라운주산안국사사적’에 따르면, 신라 왕궁의 천주사 분수승 사건으로 승려들이 죽임을 당하게 되자, 서라벌의 도인인 원일 스님은 남산 석골에 숨어 지냈다. 이후 스님이 숨어 있던 남산에서 상스러운 빛이 일어나자, 소지왕은 원일 스님에게 변고를 물었다. 이에 스님은 승려를 주륙하고 불법을 훼손한 때문에 국운에 해가 미칠까 두렵다고 답하였다. 그러자 소지왕은 원일 스님을 국사로 삼고 불교를 받드니, 다시 일월이 빛나고 천지가 밝아졌다. 이후 원일 스님은 왕성에서 3년을 머물다가 도성 북쪽 80여리 산꼭대기에 옮겨 살았다. 소지왕이 직접 행차하여 산 중턱 평평한 곳으로 옮기고 법당과 신승당을 짓고 승려 100여 명이 상주하게 하였다. 그리고 두 번째 행차하여 사찰을 살펴본 후 친히 ‘운주산 안국사’라 이름을 지어 주었다.'

 삼국유사 사금갑 설화를 비롯 안국사와 관련된 사료는 여러곳에서 발견된다.  

 ‘소지 마립간 즉위 10년, 신라 소지왕 또는 비처왕이 못 속에서 나온 노인의 편지 때문에 죽을 위기를 넘겼다는 내용과  왕실 내전에서 향을 피우며 불교 의식을 주관하던 분수승이 궁주와 은밀히 간통하고 있어 두 사람이 처형당했고, 그로 인해 승려들이 대대적으로 숙청당했다’라는 기록이 있다. 이는 ‘불교 공인 이전인 소지마립간 당시 불교에 대한 귀족들의 반발로 인하여 승려들이 숙청당하고 산속으로 숨어 지냈다’라는 내용과 궤를 같이 해  ‘신라운주산안국사사적’의 기록과 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정경희 교수는 논문을 통해 “운주산 안국사는 신라에 불교가 공인되기 전 가장 큰 규모의 사찰로 운주산 일대에 많은 암자를 거느린 천년 고찰이었으나 지금은 상안국사와 하안국사 양사만 남아 있을 뿐”이라고 밝힌다.

안국사지에서 출토된 토기편들.   /오상기씨 제공
안국사지에서 출토된 토기편들. /오상기씨 제공

 영일군사 포항시사에서도 “안국사는 불국사와 동일한 규모의 사찰이었으며, 신라시대 절 안국사가 있을 때에는 큰 마을이 있었는데 절골이라는 지명이 유래되었고, 이후 일제 강점기에는 산남의진 1대 대장 정용기가 의병 활동의 주둔지로 이용하다 1910년에 소실되었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옥산서원 사제문 일기에서는 “조선 정조 1792년 3월 16일 정혜사, 안국사, 거동사, 법광사 네 개 사찰의 스님들을 불러 선비 밥상을 배전하여 돕도록 하였다”라고 적혀 있다.

 또 다른 관련 연구 논문으로, 경주대학교 이강식 교수는 ‘기마 군단을 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라에서 입지를 다지고 삼국 통일의 원동력이 된 김유신 장군은 왕경인이 아니라 기계인이라는 변증’을 제시하며, 김유신 장군의 본가 터가 기계 현내리에 위치해 있음을 밝혔다. 신라 왕경과 기계 지역 간의 교류와 관계를 보여주는 대목이라 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영천시사에서는 “안국사가 위치한 운주산은 조선 선조 25년(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했을 때 김백암 장군이 병사를 이끌고 성을 쌓고 진터를 설치해 한양을 지키기 위한 산성으로, 영천 수성(守城)이라는 자연부락 이름이 유래했다”라고 적고 있다.   또한, “산 중턱에는 100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피난처로 이용된 동굴이 있다”라고 기록돼 있다.

 또 폐사지 안국사지에 대하여 2012년 한국의 사지(下) 지표조사 보고서에서는 1669년에 간행된 동경잡기, 1800년 무렵의 범우고 광여도 등과 성대중의 안국사 중 수기, 1845년 증보 간행된 동경잡기 등에서도 안국사에 대한 사료가 나타나고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번 포항시 향토문화유산 지정 관련 조사 이전에도 지역의 많은 향토사학자들과 언론에서도 안국사에 대한 역사적 가치에 관심이 있어 왔다. 그중 경북매일(2022년 5월 31일)에서는 ‘산남의진 기억하고 추모하자’, 경북일보(2011년 8월 12일 칼럼)에서는 ‘광복절에 생각하는 안국사 터’, 경북일보(2011년 8월 15일 칼럼)에서는 ‘청성 성대중 안국사를 다시 일으켜 세우다’ 등의 기획 보도를 한 바 있다.

신라가 고대 국가로 발전한 힘의 원천인 철기 문화가 왕성했던 당시, 기계천을 중심으로 기계 인비리 암각화 고인돌, 문성리 고인돌, 성계리 고인돌 마을 등에서 동시대의 토속신앙의 유물·유적들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이 지역을 중심으로 많은 주민들이 살아왔음을 유추 해 볼 수 있다. 특히, 신라에 불교가 공인되기 이전인 소지왕 대에 왕의 국사가 당시 경주현 기계 지역에 위치한 운주산 안국사에서 수도한 기록은 매우 귀중하고 소중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안국사의 각종 사료를 살펴보면 신라의 불교 전파과정 짐작이 가능하다.  고구려에서 경상북도 구미 도개면 신라불교 초전지를 거쳐, 우리 지역에는 고구려의 최남단인 청하면(지명이 고구려 아혜현을 신라 경덕왕 때 해아현으로 개칭)으로 들어와 신광면(흥곡리 신라인 무덤 및 지증왕 대 냉수리 신라비 및 냉수리 고분 존재)을 거쳐, 기계면(신라 대 지명 모혜현, 인비리 암각화 및 최대의 고인돌 집단 분포지, 김유신 장군 생가 터, 그리고 소지왕의 국사 원일이 수도하던 운주산 안국사 위치)으로 흘러 든 것으로 볼수 있는 것이다. 

 신라 김 씨 왕실이 불교 수용을 통한 왕권 강화를 시도한 것도 안국사가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신라 왕실은 경주 낭산(박혁 거세 탄생지인 나정에 신궁을 짓고 불교 수용에 힘썼으며, 김 씨 왕실의 삼산 오악 제의 중심인 중악)을 삼신산으로 지정하여 선불 융합을 이루었는데,  밀교와 불교가 융합하며 신라에 불교가 수용되는 과정에서 운주산 안국사는 불교의 그 전래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장소라 할 수 있다.

오상기 전 포항석곡도서관 팀장
오상기 전 포항석곡도서관 팀장

  신라 사찰 창건 시기를 보면, 안국사는 불교 공인 이전인 소지왕, 479년에 창건되었다. 이는 포항 지역의 3대 사찰인 보경사(진평왕, 579년), 법광사지(진평왕, 602년), 오어사(진평왕대)가 신라 불교 공인 이후 불교가 왕성한 활동을 한 시기에 창건된 것보다 이른 시기다. 또한, 신라 초기 불교의 정착 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곳으로, 일설에 의하면 100여 명이 강론했고 백련사 등 많은 암자를 거느리고 있었다. 현재도 ‘절골’이라는 자연부락명이 그대로 불리고 있다.

 이처럼 ‘운주산 안국사’는 전불시대, 신라에 불교가 전래되는 과정을 찾아볼 수 있는 중요한 단서다. 불교가 공인된 이후의 삼국시대에는 고구려 등으로부터 신라 왕궁의 북쪽의 외침을 지켜왔으며, 조선시대 임진왜란에는 왜구로부터 백성들을 보호하였고, 특히 일제 강점기 산남의진 제1대 의병장 정용기 장군의 의병활동 주둔지로 줄곧 호국의 산, 호국사찰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곳이기도 하다.

 앞으로 국가문화유산청 차원에서 현장 발굴조사를 실시하고, 관련한 학술연구를 통하여 신라 불교 전래 과정과 역사적 가치가 재조명될 수 있었으면 한다. 또한, 동국대학교 도서관에 있는 ‘신라운주산안국사사적’ 목판본이 포항시립박물관으로 회수 받을 수 있을 것과 국가보훈처 현충시설로 지정되기를 기대해 본다.

기획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