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캐나다서 들어오는 모든 제품 관세 25% 부과”<br/> 현지 생산기지 둔 국내 수출 기업들 대책 마련 등 촉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대통령 취임 첫날 멕시코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멕시코에 진출한 국내 기업들이 향후 대응책 마련에 나서는 등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수출 주무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도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내놓을 관세 정책 수위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대응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당선인은 25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내년) 1월 20일 첫 행정명령 중 하나로 멕시코와 캐나다로부터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기 위해 필요한 서류에 서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멕시코는 인건비가 저렴하고 미국-멕시코-캐나다 자유무역협정(USMCA) 혜택을 받을 수 있어 북미 시장을 공략하는 수출 거점으로 최적의 입지하는 평가를 받아왔다.
지난해 기준 한국의 대(對)멕시코 외국인 직접투자(FDI) 규모는 11위다.
하지만 이번 트럼프의 발언으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그간 멕시코에 진출해 생산 기지를 운영해 온 국내 기업들은 긴장하는 모습이다.
내부적으로는 제품 원가 경쟁력을 분석하고 관세 부과 이후 미국 내 공급되는 제품의 생산지 운영을 다각화하는 방안 등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산업부는 트럼프 당선인 측 동향을 예의 주시하면서 캐나다와 멕시코에 생산기지를 두고 있는 국내 수출 기업의 반응을 모니터링하는 등 관세 폭탄이 미칠 영향을 가늠해 보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아직 당선인 신분으로 당장 액션이 취해지는 것은 아니고 실제 관세 부과 등 정책 시행은 취임 후인 내년 1월 이후에 이뤄질 것”이라며 “앞으로 2개월여 동안 캐나다·멕시코 정부도 분주히 움직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얼마의 관세가 최종적으로 부과될지는 아직 알 수 없지만, 트럼프 1기 때와 달리 국정 경험이 있는 2기 때 내각 인선 등이 속도를 내기 때문에 정부도 우리 기업과 긴밀히 소통하면서 수출에 미칠 영향을 면밀히 파악하며 지원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부는 지난 22일 기아, HL만도, LG이노텍, 현대모비스 등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멕시코 진출 기업 간담회’를 열고 미국 신정부의 멕시코 통상 정책 변화에 대비해 우리 진출 기업들에 미칠 영향을 사전 점검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단정민기자 sweetjmini@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