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올해 박경리 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프랑스의 실비 제르맹은 10월 말 대산문화재단과 교보문고가 주최한 ‘세계 작가와의 대화 초청 강연’에서 ‘써라, 그래야 존재할 것이다.’라는 강렬한 말을 남겼다. 이 이야기를 지난주 목요일. 사회적 독서 컨퍼런스에서 다시 확인하게 되었다.
사회적 독서 컨퍼런스는 6년째 매년 열리고 있는데, 올해 주제는 ‘돌봄과 함께 읽기’였다. 컨퍼런스에서는 읽기보다는 쓰기가 더 다루어졌지만, 읽기와 쓰기는 한 몸이니 문제는 없다. 돌봄은 평소 관심 있는 주제이기도 했고 ‘차가운 똥과 돌봄 위기’이라는 칼럼을 쓴 조기현 씨가 발표자로 나와서 더 관심 있게 보았다. 얼마 전 글쓰기 시간에 이 칼럼을 소개했는데, 정갈한 글솜씨와 시의성 있는 문제의식으로 수강생 모두 크게 감동했었다. 나중에 알고 보니, 조기현 씨가 스무 살 때 아버지가 당뇨합병증으로 쓰러지고 나중에는 인지저하증까지 왔는데, 2인 가족이었던 터라 12년째 아버지를 돌보고 있는 청년이었다.
이날 컨퍼런스는 돌봄 관련 책을 출판하는 돌고래출판사 김희진 대표가 사회를 맡고, 김다은 예술기획자, 장하원 부산대 연구원이 같이 참여했는데, 이들 모두 이구동성으로 동의한 것은 읽기 쓰기로 고통을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조기현 대표 역시 고립에서 오는 상실감을 수용하고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 애도라고 정의하고 자신 역시 언어화를 통해 고통을 극복해오고 있다고 증언했다.
이날 발표에서 조기현 씨는 아버지를 전적으로 돌보면서 가장 힘든 것이 사회적 고립이었다고 한다. 그는 고립을 벗어나기 위해 글쓰기를 선택했고, 그렇게 아버지를 돌본 9년의 기록을 써서 ‘아빠의 아빠가 됐다’를 출간했다. 책을 몇 권 출간하면서 같은 처지에 있는 돌봄 청년들을 만나게 되고, 이른바 영 케어러들의 자조 모임 돌봄청년커뮤니티 ‘n인분’도 만들어 활동하면서 고립감이 해소되기 시작했다고 한다.
돌봄 없이 살아갈 수 있는 사람은 없으나 내게는 돌봄이 각별한 의미로 다가온다. 엄마가 파킨슨 병으로 13년간 집에서 투병하셨는데 엄마가 다른 사람의 손길은 완강히 거부하셔서 아버지가 엄마를 주로 돌보셨다. 그때 아버지가 힘들어했던 것이 육체적 고단함보다도 사회적 단절이었다. 엄마가 돌아가신 뒤 엄마의 부재에서 오는 상실감을 극복하기 위해 아버지도 글을 썼다. 엄마가 돌아가신 해 여름 자서전을 쓰면서 존재감도 느끼고 사회와 연결되고 있다는 느낌도 강렬하게 받았던 것 같다. 자서전을 집필하던 몇 달 동안은 아버지의 온몸에서 생기가 넘쳤다.
난치병에 걸린 사람들은 자신의 투병기를 글로 써서 자신의 존재를 알린다. 혈액암에 걸렸던 지인은 혈액암 투병기를 올린 많은 블로거들에게서 희망을 발견했다고 한다. 실비 제르맹은 ‘읽어라, 그러면 발견할 것이다’라고 덧붙였는데, 읽기와 쓰기는 이렇게 한 몸이 된다. 전체 가구의 30%에 육박하는 1인 가구 시대에 자기돌봄은 점점 더 중요해진다. 기록하라, 그러면 연결될 것이다. 그것은 이제 우리 모두에게 필요한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