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배달앱 업계 ‘수수료 인하’ 점주들 부담 최대 36% ‘뚝’

단정민기자
등록일 2024-11-18 19:30 게재일 2024-11-19 7면
스크랩버튼
내년 초부터 매출 규모에 따라 배당 수수료 차등화 상생안 시행<br/>하위 20%  점주 최대 수혜… 상위 35% 점주 부담은 현재와 동일

배달앱 업계 1·2위 플랫폼 배달의민족과 쿠팡이츠가 지금보다 수수료율을 낮춘 차등 수수료 방안을 도입하기로 했다.

특히 매출 하위 20% 구간의 점주들은 중개 수수료와 배달비 부담이 지금보다 최대 36% 감소해 수수료 인하 효과를 가장 많이 체감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17일 배민의 자체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내년 초부터 매출 규모에 따라 배당 수수료를 차등화한 상생안이 시행되면 배민배달(배민1플러스)을 이용하는 점주 20만 명 중 매출 하위 20%에 속하는 4만 명은 평균 객단가(2만 5000원) 주문을 100건 수행하면 중개 수수료와 배달비를 합한 부담이 지금보다 19만 5000원(36%) 줄어든다.

이는 배민이 지난 7월 수수료를 인상하기 전(6.8%)과 비교해도 부담이 33% 줄어든 수준이라고 배민은 분석했다.

또 매출 상위 35∼50% 구간과 상위 50∼80% 구간에 속하는 점주 약 9만 명은 같은 기준을 적용하면 지금보다 각각 5만 5000원(10%), 7만 5000원(14%)의 부담 비용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민 관계자는 “차등 수수료가 담긴 상생안이 적용되면 배민을 이용하는 점주 20만여 명 중에서 65%인 13만 명의 비용 부담이 줄어들게 된다”며 “전반적으로 수수료 부담이 완화해 점주들이 배달 메뉴 가격 인상을 자제하고, 소비자를 위한 할인 쿠폰 발행과 같은 혜택을 늘릴 것으로 보인다”고 기대했다.

다만 상위 35% 구간에 속하는 점주 약 7만 명은 평균 객단가 주문을 수행할 때 부담이 현재와 동일하다. 중개 수수료는 9.8%에서 7.8%로 낮아지지만, 배달비 부담이 늘어나서다. 이들 점주는 주문 금액이 객단가 2만 5000원보다 높으면 비용이 지금보다 줄어들지만, 객단가가 2만 5000원이 안 되는 주문의 경우에만 현재보다 중개 수수료와 배달비 부담이 커지는 단점이 있다.

배민은 “매출 상위 35% 구간 점주는 배달비 부담이 현재보다 커지고, 수수료는 낮아지기 때문에 객단가가 2만 5000원보다 높아질수록 비용 경감의 폭이 커진다”고 설명했다.

매출액 상위 35%에 속하는 점주 7만여 명은 대부분 대형 치킨프랜차이즈와 도미노피자, 맥도날드 등의 가맹점주가 주로 속해 있는 것으로 외식업계는 추정하고 있다.

대형 프랜차이즈를 대변하는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와 전국가맹점주협의회, 한국외식산업협회 등 3곳은 상생안이 상생협의체가 출범하기 전 배민의 수수료율인 6.8%보다 높다고 반발하고 있다.

이들 가맹점주는 “카드 수수료와 마찬가지로 국회와 정부가 개입해 배달 수수료 상한제와 같은 입법 규제를 고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배민과 쿠팡이츠는 중개수수료를 현행 9.8%에서 거래액 기준으로 2.0∼7.8%로 낮추는 차등 수수료 방식을 내년 초부터 3년 동안 적용할 계획이다.

수수료율은 지금보다 최대 7.8%포인트, 최소 2.0%포인트 낮아지지만 배달비는 최상위 구간에서 500원 오르게 된다.

/단정민기자 sweetjmini@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